국내에서 처방가능한 유일한 설로덱사이드
(sulodexide) 성분의 눈 영양제
적응증 : 혈전의 위험성이 있는 혈관질환
1. 당뇨병성 망막병증
2. 망막동맥폐쇄(중심, 분지)
3. 망막정맥폐쇄(중심, 분지)
4. 주변부 망막 변성
5. 기타 망막 질환
망막병증에서 혈관벽이 손상되는 기전은
정상적으로 혈관벽의 구조적 안정성이 깨어지는
것입니다.
혈관벽의 손상은 혈액속의 단백질과 지질
성분의 누출을 야기하게 되고 이러한 누출된
단백질과 지질은 망막에 침착되게 됩니다.
이러한 침착이 오랫동안 지속되어 굳은 것이
경성삼출물(hard exudate)이라고 합니다.
이처럼 당뇨병으로 인한 혈관의 손상은
GAG(glycosaminoglycan)의 소실에 의함인데,
설로덱사이드는 혈관벽에 친화성을 갖는
헤파린(heparin)과
더마탄 설페이트(dermatan sulfate)라고
하는 GAG 성분입니다.
설로덱사이드를 경구로 복용할 경우
혈관벽에의 높은 친화성으로 혈관벽으로
가게되고 손상된 GAG를 대신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당뇨망막병증의 단계(grading) 및
심각도(severity)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망막의 출혈, 미세동맥류의 정도에는 효과가
없으며 시력과 망막 부종의 감소에도
효과가 없으며 시력과 무관하고,
당뇨망막 병증의 단계에도 무관한
수치인 경성삼출물(hard exudate)의
감소에만 효과가 있습니다.
'안과질환 백과사전 > 망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영양제 series3 : 도베셀 (0) | 2022.03.20 |
---|---|
눈영양제 series2 : 엔테론 (0) | 2022.03.20 |
눈전위도검사 (0) | 2021.08.23 |
빛간섭단층촬영 (0) | 2021.08.23 |
눈초음파 (0) | 2021.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