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질환 백과사전/망막 39

눈영양제 series3 : 도베셀

엔테론의 몰락과 함께 떠오르는 약중 하나 Calcium dobesilate 성분으로 눈에서 많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여러 논문을 통해 알려진 많은 기능들이 있지만 2015년에 Zhang X, et al에 의한 Meta analysis 결과를 살펴보면 당뇨망막병증의 초기 소견인 안저출혈, 미세동맥류, 망막 삼출물의 호전을 가져오며 혈액 및 혈장의 점성을 낮추어 혈액 순환에 도움을 주며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고지혈증 치료에 도움이 되며 또한, 안압 감소 효과가 있어 녹내장에 대한 예방 및 치료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국내에서 처방 가능한 용량을 고려한다면 실질적으로는 당뇨망막병증의 초기 소견인 안저출혈, 미세동맥류, 망막 삼출물의 호전을 위해서만 사용가능합니다.

눈영양제 series2 : 엔테론

보험적용 변경으로 요즘 가장 이슈였던 약제인 엔테론! 섬유 합성촉진과 분해억제 효과로 혈관과 림프관을 구조적으로 튼튼하게 하여 마치 배수로를 잘 닦아 놓은 효과를 가져오게 하는 약으로 혈액과 림프액의 원활한 이동을 도와 조직액이 림프관으로 잘 배수되도록 해 부종을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돕는 약입니다. 이번에 변경된 부분은 망막, 맥락막 관련 안과 질환 적응증에 국한되었습니다. 허가사항은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황반부종을 동반하지 않은 중등도 이하의 비증식성 당뇨망막병증에 당뇨 원인요법과 병용해 보조제로 투여로 결정됐습니다. 기존 지침의 망막 장애로는 망막박리부터 열공, 장액성 망막 박리, 망막낭종, 망막혈관폐쇄, 동맥폐쇄, 망막혈관변화, 망막혈관염, 망막혈관집형성 등 다양한 적응증을 포괄하였으며 뿐..

눈영양제 series1 : 베셀듀에프

국내에서 처방가능한 유일한 설로덱사이드 (sulodexide) 성분의 눈 영양제 적응증 : 혈전의 위험성이 있는 혈관질환 1. 당뇨병성 망막병증 2. 망막동맥폐쇄(중심, 분지) 3. 망막정맥폐쇄(중심, 분지) 4. 주변부 망막 변성 5. 기타 망막 질환 망막병증에서 혈관벽이 손상되는 기전은 정상적으로 혈관벽의 구조적 안정성이 깨어지는 것입니다. 혈관벽의 손상은 혈액속의 단백질과 지질 성분의 누출을 야기하게 되고 이러한 누출된 단백질과 지질은 망막에 침착되게 됩니다. 이러한 침착이 오랫동안 지속되어 굳은 것이 경성삼출물(hard exudate)이라고 합니다. 이처럼 당뇨병으로 인한 혈관의 손상은 GAG(glycosaminoglycan)의 소실에 의함인데, 설로덱사이드는 혈관벽에 친화성을 갖는 헤파린(hep..

빛간섭단층촬영

Hyper-reflectivity : pseudoscale에서는 붉은색, gray scale에서는 흰색 1) RPE 2) Retinal nerve fiber layer 3) IS/OS 4) Cone/Rod outer segment tips Hypo-reflectivity : pseudoscale에서는 푸른색, gray scale에서는 검은색 1) Ganglion cell layer 2) Inner nuclear layer(INL) 3) Outer nuclear layer(ONL) Intermediate : pseudoscale에서는 노란색 혹은 녹색 1) Inner plexiform layer(IPL) 2) Outer plexiform layer(OPL)

눈초음파

망막박리는 B-scan 상에서 밝고 연속되며 다소 주름이 잡힌 막의 형태로 보이는데 전체 망막박리가 있으면 시신경유두에서 거상연까지 연결된 갈매기 모양을 보이며, 비교적 적은 후동작이 관찰된다. 조직감도로 맞추어진 A-scan 검사에서 초음파가 망막에 수직으로 입사되면 거의 100% 반향 세기가 관찰된다. 그러나 망막이 위축되거나 심한 굴곡이 있으면 반향의 세가가 작을 수도 있다. 망막박리의 형태는 다양하여 매우 얕으며 평활한 막 형태로부터 수포성이며 주름이 잡힌 깔깔 때 모양의 막을 나타내기도 한다. 박리된 망막의 후동작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대개 후유리체박리의 경우모다는 적은 정도로 관찰되지만, 최근에 생긴 큰 열공을 가진 수포망막박리의 경우에는 매우 크고, 증식유리체망막병증을 동반한 오래된 망..

망막의 구조와 생리

* 맥락막 혈관계는 교감신경에 의한 자율조절을 받는다. * 맥락막 혈관계는 망막 바깥쪽 1/3 층에 혈류공급을 한다. * 맥락막 혈관은 다른 신체기관에 비하여 단위시간, 단위면적당 순환혈류량이 가장 많다. * 맥락막 혈관은 다른 신체기관에 비하여 동정맥간 산소분압차이가 작다. * 후극부 주위의 맥락막 모세혈관은 소엽 형태로 되어 있다. Muller cell (뮬러세포) – 망막세포 중 가장 큼. 망막전역에 분포. 핵은 내과립층에 위치 Astrocyte(성상세포) – 후극부에 많고 주변부에 적음. 영양공급, 조직복구 및 흉터조직 생성에 관여 Microglia (소교세포) – 망막에 병변이 생기면 세포의 형태가 변하면서 탐식 기능 (면역기능) Bipolar cell(두극세포) – 내외망상층 양쪽으로 돌기를 ..

당뇨망막병증

* 혈관형성인자로 혈관내피성장인자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fibroblast growth factor, FGF), 인슐린양 성장인자(insulin-like growth factor, IGF), 전환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β)등이 있다. * 색소상피유발인자(pigment epithelial-derived factor, PEDF)는 다른 인자에 비해 비교적 최근에 소개되었으며, VEGF와 함께 망막의 혈관성장과 신경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망막신경절세포에서도 분비가 되나, 주로 망막색소상피에서 분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생혈관이 있는 눈에서 VEGF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

기타 소아 및 선천망막질환

가족삼출유리체망막병증 Familial exudative vitreoretinopathy 임상소견 ① 시력저하, 사시, 백색동공을 호소함. ② 만삭에 정상체중으로 태어난 소아에서 특징적인 망막 주변부에 무혈관망막 →혈관망막과의 경계에 브러시 모양의 혈관문합, 더 진행시 신생혈관 발생 →혈관이 이측으로 끌려 직선으로 주행 →중심부 망막의 끌림은 주름을 형성. 주변부 망막과 수정체까지 닿거나 낫모양망막주름이 보이기도 함 →주변부 망막에 견인에 의한 망막열공이 발생하여 RD유발 가능, 망막층간 분리 및 거대 열공의 가능성 ③ 이측병변은 공막 누르기를 하지 않으면 놓치기 쉬움. ④ FAG가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음. 일차유리체증식증 Persistent hyperplastic primary vitreous *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