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질환 백과사전/성형안과 19

안와수술

* 안와종양제거술시 아무리 가까운 경로라 할지라도 종양을 제거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는다면 다른 경로를 선택해야 한다. 수술자는 항상 충분한 수술시야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눈물샘에 발생한 종양은 촉지가 가능하더라도 가쪽안와절개술(lat. Orbitotomy) 혹은 머리뼈접근법(cranial approach)을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왜냐하면 눈물샘의 종양은 우리가 예상한 것 보다 ①종양의 크기가 큰 경우가 있고, ②눈물샘 상피종양의 50%는 악성종양이며, ③완전 절제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는 양성종양이라도 악성으로 변할 수 있고 ④때로는 골막과 안와벽을 함께 제거해야 되는 경우(en bloc excision)가 있기 때문이다. 종양에 접근하기위하여 정상안와조직층을 통과할때 blunt di..

안와질환

* 눈물샘 종양 비상피성병변(50%) – 특발성안와염증, 림프증식성 질환, 육아종, sarcoidosis 상피성병변(50%) – 다형샘종(m/c), 그외 악성혼합종, 샘암종, 정막표피모양암종, 편평세포암, 악성림프종 * 다형샘종 (Pleomorphic adenoma) 양성상피눈물샘종양중 m/c (대부분의 상피종양은 안와엽에서 발생) 20-50대에서 발생하며 40대에 가장 많고, 남자에서 조금 더 많이 발생 증상 : 통증이나 염증반응 없이 서서히 발생하는 종괴 안구의 내하측 편위와 안구돌출 위눈꺼풀부종 등이 1년 이상에 걸쳐 나타남 진단 : CT에서 경계가 분명한 원형 혹은 난원형의 종괴 눈물샘 오목이 커져있고, 국소압박으로 골미란이 관찰될 수 있음. 치료 : 생검없이 가쪽안와절개술을 통하여 종양을 완전 ..

안와 질환의 진단, CT, MRI

* CT : 안구돌출 환자 평가 일차 검사 방법, 안와 외상 평가에 유용 외상으로 인한 안와골절, 안와내 이물, 눈물샘종양, 부비동과 관련된 질환, 망막모세포종, 그리고 석회화 관찰 MRI : 안와와 머리뼈 경계부 평가, 시신경 종양, 안와종양의 머리뼈 속 침범 감별, 안와내 유기 아물이나 혈관종, 이질 종양, 안와첨, 시신경관, 해면정맥굴의 연부조직, 흑색종 같은 눈속종양, 시신경교종과 같은 신경질환, 해면정맥굴샛길 * 조직의 특성에 따른 MRI 소견 1) T1 강조영상 - 안와지방이 아주 밝게 관찰, 유리체는 어둡게 관찰, 정상 해부학적 구조를 보기에 좋다. 2) T2 강조영상 - 물성분이 아주 밝게 관찰, 유리체와 부종이 있는 부위가 하얗게 나타남, 염증이나 병변의 상태를 관찰하기에 용이하다. *시..

안외상

* Telecanthus ← Medial canthal tendone의 injury(displacement or avulsion) * 안와 사이막 – 대부분은 봉합하지 않는 것이 수술 후 토안을 예방할 수 있다. * 눈물소관 찾는법 ① 얼음찜질을 하여 부종을 가라앉히는 것이 좋다. ② 다치지 않은 눈물소관에 공기, 스테로이드 용액, 점탄물질, 메틸렌블루, 형광염색약 등을 주입하여 보기도 한다. - 이 중에 염색약 계통은 조직을 전부 염색시켜 오히려 방해될 수 있어 처음부터 이를 사용하지는 말아야 함 메틸렌블루의 관류는 열상부위의 조직 전체가 염색되어 절단된 입구를 더욱 찾기 어렵게 만들 수도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③ 붕어 입(fish mouth) : 잘려진 눈물소관 내벽의 상피조직으로 인해..

무안구 결막낭의 재건

* 안와삽입물의 노출 예방 가. 피복재료로 삽입물을 잘 싸서 거친 표면으로부터 결막과 테논낭을 보호 나. 수술중에는 결막이나 테논낭의 손상을 최소화화면서 삽입물 앞쪽을 잘 덮어 주어야 한다. 다. 삽입물에 구멍을 뚫은 후 삽입하여 섬유혈관조직이 잘 자라 들어갈 수 있도록 해준다. 라. 너무 큰 삽입물도 노출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적절한 크기의 삽입물을 선택 마. 외안근을 가급적 원래의 부탁부위보다 앞쪽으로 이동시켜 부착 바. 결막면이 의안과 마찰될때는 의안의 뒷면을 오목하게 형태를 바꾸어 결막이 자극 되는 것을 방지 사. 결막과 닿는 앞면이 매끈하고 외안근 부착을 위한 구멍이 미리 뚫어져 있는 Smooth Surface Tunnel Sphere(SST®)를 사용 - 피복재료로 싼 다공성 충전물인 경우에는..

안구제거술

* Hydroxyapatite 충전물 (1) 장점 : 의안 움직임 개선, 가볍고 이물반응이 적음 (2) 단점 : 조작시 부스러짐, 외안근을 충전물에 직접 부착 못함 à 피복재료 추가사용 필요 * 시신경절단 : 외안근이 완전히 분리되면 내직근과 외직근에 걸어 두었던 견인봉합을 앞쪽으로 당기면서(내직근을 조금 더 강하게 당겨 안구를 약간 바깥쪽으로 회전) sewell retractor로 뒤테논낭을 안구로부터 분리시키면서 시신경을 노출시킨다. : 출혈을 줄이기 위해 시신경을 꽉 잡은뒤(clamping) 안쪽 방향에서 지혈겸자를 밀어 넣음 지혈겸자는 닫은 채로 밀어 넣는다. : 시신경절단은 가위를 닫은 채 안구 뒤쪽으로 넣어 딱딱한 시신경의 감촉을 느낀 후에 가위를 열어 절단 → 시신경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갑상샘눈병증

* 소아의 갑상샘눈병증은 성인에게서 발생되는 대부분의 증상이 생길 수 있으나 그 정도는 성인에 비하여 심하지 않고 좋은 예후를 보이므로 대부분의 경우에서 보존적 치료로 충분할 수 있다. 흡연은 가장 중요한 환경인자로서 그 자세한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임상 연구결과, 흡연은 갑상샘눈병증의 발생을 증가시키며, 기존의 눈병증을 악화시키고, 치료에 대한 반응을 저하시키며, 갑상샘에 대한 방사성요오드 치료 후 의 눈병증 악화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중증 눈병증의 발생 위험은 남자 환자에서 더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생시기는 갑상샘기능항진증이 먼저 온 후 1년 내에 눈병증이 오는 경우(60~70%)가 제일 많으나, 갑상샘기능항진증과 갑상샘눈병증이 동시에 나타날 수도 있으며(20~22%..

눈물기관 질환의 진단 및 치료

* Jones 1차염색검사 : 결막낭에 fluorescein 점안 후 코로 염색약 나오는지 확인 (+) : 정상 // (-) : 어딘가 막혔거나 기능적 폐쇄 * Jones 2차염색검사 : 1차검사 음성인 환자 대상으로, 결막낭의 염색약 제거 후 아래 눈물점을 통하여 눈물소관에 관류바늘 삽입하여 식염수 주입하며 코로 염색약 나오는지 확인 - 역류없이 통과 & 코쪽으로 염색약 검출 : 부분협착이나 기능적 폐쇄 - 역류없이 통과 & 코쪽으로 염색약 불검출 (맑은 관류액) : 눈물점이나 눈물소관의 협착 또는 공통눈물소관과 눈물주머니 사이의 연결부위 (Rosenmuller valve) 이상 - 관류액이 반대쪽 눈물점으로 역류 : 눈물주머니나 눈물주머니 아래쪽 폐쇄 관류액이 삽입한 관류바늘 주위로 역류 : 그쪽 눈..

본태눈꺼풀연축

* 본태성 눈꺼풀 연축 -양안 눈꺼풀 감는 근육의 조절되지 않는 과도한 수축으로 눈뜨기 힘든 질환 -여자가 3배 많이 발생 -35세 이전 발병 드물다 -유발인자; 햇빛, 바람, dry eye, 운전, 스트레스 -유전적 소인 관여하는 것으로 보임 -수면, 전신마취에서 나타나지 않음 -증상완화 요령을 가지고 있다.(수면, 휴식, 하방주시, 눈꺼풀 벌리기, 말하기, 노래 등) -진행성으로 나중에는 스스로 조절 어렵다 * 눈둘레근파동(ocular myokymia) -편측에서 눈둘레근 일부 근섬유에 국한된 채 잔떨림 양상을 보임 -주로 아랫눈꺼풀 -정상인에서도 흔히 나타나며, 피로, 스트레스, 과도한 카페인 섭취와 관련이 있으며 1주내 자연 호전되나, 1-2주 이상 지속시 보툴리눔 독소 주사를 고려할 수 있음 *..

눈꺼풀 종양

* 각 disease별 pathology 특징 - Basal cell ca : Basophilic, Cleft, Palisading columnar cell - Sq cell ca : Eosinophilic, Keratin pearl, Intercellular bridge (desmosome) - Sb cell ca : Eosinophilic, Foamy cytoplasm, Intracellular lipid vacuole, Oil-red-O stain(+) - Malignant melanoma : Melanin 색소 관찰, anaplasia(+) * 피지샘암(Sebaceous ca.)은 수술 전 여러 부위에서 조직생검(map biopsy) 시행하여 파제트병모양 확산의 침범 범위를 확인하여 수술계획을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