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질환 백과사전/백내장 16

특수한 경우의 백내장 수술

* 난시교정량은 투명각막절개에 따른 교정량은 직난시 0.37D, 사난시 0.35D, 도난시는 0.16D정도 * 후면난시를 고려하지 않고 각막난시를 측정하였을 때 전체 각막난시보다 0.22D가 underestimation 된다. Toric IOL을 선택하였을 때 후면난시 고려하지 않았을 경우 직난시에서는 과교정이, 도난시에서는 저교정을 유발될 수 있다 * 소아에서의 백내장 수술 시 CCC 4~6mm 크기로 가능한 작게 forcep으로 시행, post. CCC는 6세 이전에 반드시 시행, 1세 이상 소아 단안 백내장, 2세 이후 모든 백내장의 경우 IOL 삽입 고려한다. CCC는 4~6mm 크기, PCCC는 4mm 보다 작지 않게 하며 광학부의 후낭물림을 시행한다. 유아에서는 특히 윤부의 창상열개가 수술 후..

백내장 수술의 합병증과 처치

* 수정체유화술시 절개창화상 예방법 1. 수술 전 시험용기 내에서 초음파장비를 점검하여 관류와 흡인에 장애가 없는지 확인 2. 전방이 점탄물질로 채워져 있을 경우 초음파 첨단부 주위의 점탄물질을 우선적으로 제거하여 창상 주위에 점탄물질이 끼어서 발생하는 각막화상을 방지 3. 창상의 넓이와 길이를 충분하게 하여 관이 터널 내에서 꼬이거나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 4. 차가운 평형염액 (cooling BSS) 사용 5. 펄스방식 수정체 유화술 사용 * 데스메막파열 -원인: 절개창을 통해 부적절한 기구 삽입 -예방법: 올바른 기구의 삽입, 적절한 점탄물질 사용, 적절한 절개창의 크기 -데스메막 파열을 인식하는 것이 가장 중요 (발견 못한 상태에서 수정체유화술을 시행하면 파열은 더욱 진행된다) -치료: 1) 크기가..

인공수정체

* 근시교정굴절수술환자에서 사용하는 공식 중 가장 맞는 것은 barret true K이다. * 백내장 수술을 위해 도수측정 시 근시굴정교정수술을 받은 이후의 각막굴절 K값을 이용하면 원시화 편향된다. Lens position effect는 있다. 고도 근시인 경우 SRK-Ⅱ 보다는 수술 후 전방 깊이의 예측, 망막 두께, 각막굴절을 보정한 SRK-T, Holladay가 더 높은 굴절력 예측을 가진다. 유리체에 실리콘 오일이 삽입된 경우 원시화된다. IOL master(광학)는 후낭하백내장, 심한 백내장, 혹은 환자의 주시 협조 불능으로 인하여 결과를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 안축장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Hoffer Q, Hollday II의 정확성이 좀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

백내장 수술

* ripping은 절개방향 조절이 어려우나 급격한 방향전환에 shearing이 유리한 것은 아니다. (급격한 방향전환에는 ripping) * 과숙백내장(Mature cataract)에서 전낭절개 안저로부터의 반사광이 약해 전낭의 절개면이 잘 보이지 않음. 또한 수정체가 팽창되어 있어 전낭절개의 방향이 바깥으로 나가므로 radial tear가 쉽게 생김. 따라서 가급적 고배율, 고광도하에서 날개판을 자주 잡으며 진행. 만약 수정체의 내용물이 액화되어 있으면 먼저 수정체 중심부의 전낭에 작은 절개창을 만들어 액화된 내용물의 일부를 전방으로 빼냄. 노인에서와 같이 수정체핵이 크고 액화된 내용물이 적어 수정체낭 내의 압력이 높지 않으면 낭겸자로 전낭절개를 해도 됨. 이때는 수술현미경의 배율과 밝기를 평소보다 ..

백내장수술 전 준비

1. SM을 보고 Fuch's dystrophy를 파악할 수 있으며 내피보호를 위해 왼쪽과 같은 도포력이 높은 분산성 점탄물질을 사용해 주어야한다. 2. 응집성 점탄물질과 분산성 점탄물질의 특성아 아래와 같다. * 응집형(cohesive) 점탄물질 A. 분자량과 표면장력이 크고 긴 분자사슬 형태 B. 위양성이 커서 좁은 관으로 주입하기 용이 C. 응집성이 우수하여 전방에 주입하기 용이 D. 주입된 후 공간을 유지하고 형태가 잘 유지 → 홍채를 늘리거나 구조물 분리에 사용 E. 분자량이 커서 자연적으로 제거되는 데 시간 거리고 안압이 오를 수 있음 F. 투명성이 우수 쉽게 제거되므로 내피보호 효과는 낮음 * 분산형(dispersive) 점탄물질 A. 분자량이 낮고 표면장력이 작으며 점섬이 낮아 표면에 잘 ..

백내장 수술의 마취

1. 아래 사진은 눈뒤마취의 사진으로 방법과 합병증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알아야한다. 눈뒤마취(구후마취, 근원추내마취) - 안구 뒤쪽 4개의 직근들 안쪽 공간인 근원추 내에 국소마취 제 주입 - 처음에는 안와 바닥을 따라 안구와 평행하게 진행, 적도를 지나면 방향을 위쪽으로 변경하여 안구의 중앙 세로면을 넘지 않도록 주의하여 마취제 주입 * 바늘의 모양, 주입시 환자의 눈의 위치와 주입 부위등이 과거 개념과 달라짐 - 바늘의 모양 : 23G 정도의 날카로운 바늘이 조직을 덜 손상시키고 통증, 출혈이 적어 선호됨 : 되도록 크기가 작은 주사기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함 - 주입시 환자의 눈의 위치와 방법 : 과거에는 안구를 상전, 내전시킨 상태에서 바늘의 근원추의 하이측으로부터 접근 시키는 방법인 Atkins..

수정체 유화술의 역동학

1. 백내장 수술 중 고도근시에서는 관류액병을 낮춘다. 급류(surge)가 생기면 관류액병을 높인다. 절개창 유출이 있으면 관류액병을 높인다. Sculpting 시에 진공(vacuum)을 낮춘다. Chopping 시에 진공(vacuum)을 높인다. 2. 아래의 동영상은 폐색 후 급류(Surge) 상황이다. 높은 음압, 유속 사용시 호발, 전방내 관류액 유입 적어서 발생, 흡입관 유연성 높으면 급류 조장 * 급류(Surge) : 높은 음압으로 흡입구에 있던 물질이 갑자기빨려 올라가면, 흡입회로의 음압 상쇄위해 전방에 있는 물이 급격히 흡입회로로 빨려 올라가 전방이 일시적으로 얕아지는 현상 3. 초음파유화술로 핵 3/4 제거 중 핵 안 빨리고 전방 얕아지고 후낭이 밝게 보였다. 후낭 파열이 의심되는 상황으로..

수정체의 구조와 생리

1. 나이가 들수록 수정체의 굴절률은 감소하지만 무게, 두께, 핵경화도, 혼탁도는 감소하지 않는다. 2. 노화에 따라 수정체의 모양은 앞면보다 뒷면이 볼록한 편원 형태의 구형(ablate spheroid)으로 출생 시에는 적도부의 지름 6.4mm, 전극과 후극 간의 두께 3.5mm, 무게가 90mg이지만, 성인이 되면 적도부의 지름 9mm, 전극과 후극 간의 두께 5mm, 무게 255mg이 된다. 유년기에는 볼록한 원반형이지만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납작한 원반형으로 변하면서 일생을 거쳐 성장한다. 또한 나이가 들면 피질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워지고 수정체의 굴곡이 심해져 굴절력이 증가하지만 불용성 단백입자가 늘어나기 때문에 굴절률(index of refraction)은 오히려 감소한다. 전낭은 나이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