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tina 5

빛간섭단층촬영

Hyper-reflectivity : pseudoscale에서는 붉은색, gray scale에서는 흰색 1) RPE 2) Retinal nerve fiber layer 3) IS/OS 4) Cone/Rod outer segment tips Hypo-reflectivity : pseudoscale에서는 푸른색, gray scale에서는 검은색 1) Ganglion cell layer 2) Inner nuclear layer(INL) 3) Outer nuclear layer(ONL) Intermediate : pseudoscale에서는 노란색 혹은 녹색 1) Inner plexiform layer(IPL) 2) Outer plexiform layer(OPL)

눈초음파

망막박리는 B-scan 상에서 밝고 연속되며 다소 주름이 잡힌 막의 형태로 보이는데 전체 망막박리가 있으면 시신경유두에서 거상연까지 연결된 갈매기 모양을 보이며, 비교적 적은 후동작이 관찰된다. 조직감도로 맞추어진 A-scan 검사에서 초음파가 망막에 수직으로 입사되면 거의 100% 반향 세기가 관찰된다. 그러나 망막이 위축되거나 심한 굴곡이 있으면 반향의 세가가 작을 수도 있다. 망막박리의 형태는 다양하여 매우 얕으며 평활한 막 형태로부터 수포성이며 주름이 잡힌 깔깔 때 모양의 막을 나타내기도 한다. 박리된 망막의 후동작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대개 후유리체박리의 경우모다는 적은 정도로 관찰되지만, 최근에 생긴 큰 열공을 가진 수포망막박리의 경우에는 매우 크고, 증식유리체망막병증을 동반한 오래된 망..

망막의 구조와 생리

* 맥락막 혈관계는 교감신경에 의한 자율조절을 받는다. * 맥락막 혈관계는 망막 바깥쪽 1/3 층에 혈류공급을 한다. * 맥락막 혈관은 다른 신체기관에 비하여 단위시간, 단위면적당 순환혈류량이 가장 많다. * 맥락막 혈관은 다른 신체기관에 비하여 동정맥간 산소분압차이가 작다. * 후극부 주위의 맥락막 모세혈관은 소엽 형태로 되어 있다. Muller cell (뮬러세포) – 망막세포 중 가장 큼. 망막전역에 분포. 핵은 내과립층에 위치 Astrocyte(성상세포) – 후극부에 많고 주변부에 적음. 영양공급, 조직복구 및 흉터조직 생성에 관여 Microglia (소교세포) – 망막에 병변이 생기면 세포의 형태가 변하면서 탐식 기능 (면역기능) Bipolar cell(두극세포) – 내외망상층 양쪽으로 돌기를 ..

코우츠병과 일스병

코우츠병 (Coats’ disease) 진행하는 특발성의 발육이상 망막혈관질환(Exudative vasculopathy, 망막모세혈관의 확장, 누출이 문제) 1. 역학 - 특발성, 남자, 단안, 진단은 20세이전(평균 5세), 유전 X (NDP gene), 진행, 재발, 이측 2. 5단계로 구분 ① 모세혈관확장증만 : 주기적 관찰 or laser ② 모세혈관확장증 + 삼출물 : Laser / Cryo ③ 삼출망막박리 i. (3A,subtotal) Laser / Cryo(삼출물로 망막이 두꺼워져 레이저 에너지 흡수 부적절한 경우) ii. (3B,total, shallow) Cryo iii. (3B,total, severe) PPV or Encircling ④ 전망막박리 + 이차녹내장 -> 안구적출(통증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