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막 12

비감염성 비면역성 결막질환

* 상부윤부각결막염 환자는 보통 이물감, 작열감, 눈통증(1), 충혈 등의 증상을 호소하고, 실모양체가 발생한 경우에는 점액분비물이 나타난다. 각막의 상부에만 발생하므로 시력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세극등검사상 위눈꺼풀결막의 충혈과 미세한 유두증식, 상부안구결막과 윤부결막의 국한된 충혈, 두꺼워짐과 이완, 침범된 결막의 각화, 상부각막과 윤부에 발생한 실모양체 등을 관찰할 수 있고, 형광염색 시에는 상윤부의 각막과 인접한 결막에서 미세한 점 모양의 염색 소견을 보인다. 점안마취 후 상부각막을 덮고 있는 상부안구결막을 면봉으로 밀어서 이완된 것을 확인해도 진단에 도움이 된다. - 중년이후 여자에 더 많음 - 양안성 - 갑상선항진증과 동반률 높음 - 주된 소견 1) 위눈꺼풀결막의 진무름성과 융단 같은 유두..

비감염성 비면역성 각막질환

* 반복각막짓무름 - 각막 상피의 벗겨짐과 재상피화를 반복, 저녁이나 이른 아침에 발생 - 갑작스레 찢어지는 듯한 감각을 느낌 후에 예리한 통증, 심한 이물감, 눈물흘림, 눈부심, 시력장애, 눈꺼풀 부종 등의 증상이 뒤따름 * 신경영양각막염 가장 흔한 원인의 단순포진바이러스와 대상포진바이러스의 안구감염이다. 그 다음으로 흔한 원인은 3차 신경절의 눈분지를 손상시키는 종양과 수술 병력이다. 다른 원인으로는 선천 질환, 각막이상증, 각막신경 의 국소외상, 나병 등의 감염, 전신질환, 점안약, 독소노출 등이 있다. 당뇨병의 경우 각막지각신경의 감소를 초래하며, 특히 범망막광응고를 받으면 각막 지각 감소가 심해질 수 있다.

각결막의 외상

* 각막봉합 1) 봉합은 각막기질의 90% 깊이로 한다. 2) 봉합순서는, 주변부를 먼저 길고 편평하게 봉합하여 본래의 편평한 모양을 유지à중앙부를 좁고 얕게 봉합하여 각막의 중심부가 가파른 정상 각막 형태 유지. 3) 봉합을 할 때에는 바늘 끝이 각막 표면과 수직이 되도록 한다. 4) 창상에 홍채물림이 있는 경우 전방천자 부위로 기구나 점탄물을 이용하여 홍채를 제 위치로 돌려놓고 열상을 봉합해야 한다. 상처부위가 오염되거나 시간이 오래 경과하여 조직괴사나 오염이 의심되면 탈출된 홍채를 제거한 후 봉합한다. 열상 부위에 홍채 물림이 있을 때는 경우에 따라 절제한다. 홍채를 제거 하는 경우- ① 24 시간 이상 노출된 경우 ② 손상이 심하고 탈색된 경우 ③ 이물이 박혀있는 경우 ④ 표피 상피화가 형성된 경..

선천이상과 동반된 각결막 질환

* 후태생환 - 쉬발베고리의 앞쪽 경계가 두꺼워지고 중심부로 이동한 것 - 각막 윤부에서 0.5~2mm 중심부 쪽에 위치한 쉬발베 고리가 외부에서 모일 때 ‘후태생환’ - AD 유전 : alagille 증후군, X염색체관련비늘증, 가족성무홍체증 에서 나타날 수 있다. - 주변부 홍채가 각막으로 자라들어감 * 피터스이상 - 신경능선 세포의 이주에 결함(수정체가 외배엽에서 불완전 분리) - 출생시부터 발견되는 중심부 각막혼탁 (수정체 비침범 I형, 수정체 침범 II형) - 각막중심부 백색혼탁 (leukoma), 투명한 주변부가 특징, 80% 양안성 - 조직병리 : 각막 전층의 이상 - 백내장 종종 동반 - 녹내장 50~70% 에서 발생, 전방각의 이상, 섬유주는 거의 정상(주로 출생 직후 발생) - 혼탁이 ..

면역성 주변각막질환

* 무렌각막궤양 - 심한 통증을 수반하면서 각막윤부를 따라 윤부와 평행하게, 동시에 각막 중심부 방향으로도 진행하는 주변 각막실질층의 만성염증 - 원인이 알려져 있지 않음 -> 배제 진단 - 일반적으로 두가지 형태로 존재 ①양성형 – 단안 국한, 증상 경미, 치료에도 잘 반응, 좋은 예후, 나이가 많은 환자에서 발생 ②악성형 – 젊은흑인, 양안 침범, 심한 통증, 치료에 잘 반응X, 계속 진행, 각막천공, 나쁜 예후, 비전형형태 - 최근에 Watson이 새로운 분류 기준 제시 ①편측성 : 나이 많은 환자에서 주로 발생하며 진행형으로 동통을 동반 ②양측공격형 : 젊은 연령층에서 호발 ③양측태만형 : 중간연령층이 주 대상 1. 원인 및 병인론 A. C형간염과 관련하여 발생한 경우, 십이지장충 감염과의 관계가..

비결핵성 마이코박테리아 각막염, 매독/비매독 기질 각막염

- NTM은 기회 감염병원체, 라식이 가장 큰 위험 요인 - 임상양상: 경도에서 중등도의 통증과 함께 눈부심, 시력저하를 동반하지만, 증상이 없을 수도 잇다. 대부분 라식 후 2주에서 14주 사이에 단안에 발생, 경계면에 단일 혹은 여러 개의 침윤, 병변이 피판 아래 위치하기 때문에 상피결손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앞쪽이나 뒤쪽 각막실질까지 퍼지는 양상이 자주 나타난다. - 진단 : NTM각막염을 의심하여 적절히 염색하고 적절한 배지에 배양검사를 하는 것이 진단에 가장 중요. 라식 후 발생한 각막염에서는 피판을 들고 침윤부위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 치료 : 치료가 어렵고, 약물에 대한 내성발생 위험이 높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여러 약물을 동시에 사용한다. Isoniazid, ethambutol, ..

가시아메바 및 기타 기생충 각막염

* 가시아메바각막염의 각막 소견 1) 초기 각막염 소견 (상피각막염, 감염 후 1~2주 이내) - 각막 진무름(표층 상피 세포층의 손상 및 세포탈락) + 불규칙한 표면 -각막병변이 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심한 눈통증, 시력저하, 충혈, 눈물흘림, 눈부심이 심하여 눈을 잘 뜨지 못하는 증상 -방사상 신경염 (radial keratoneuritis) : 각막신경에 친화력이 있는 영양형이 각막신경 주변으로 이동하여 염증을 유발 – 특징적인 소견, 빈도 2~57% 2. 중기 각막염 소견 (상피 및 실질 각막염, 감염 후 2~4주) -고리모양침윤 (면역륜) : 각막실질의 염증세포침윤이 주위로 이동하면서 융합, 특징적 병리 소견. -괴사각막염 3. 말기 각막염 소견 (실질각막염 및 각막궤양, 감염 후 4 주 이후..

각결막의 생리, 병리반응

* 각막내피 (1) 젊은 성인의 내피세포 밀도 : 3500 cells/mm2 (2) 세포 수가 증가되지 않기 때문에, 내피세포가 소실되면 남아 있는 주변 세포의 확대와 결손 부위로의 활주를 통해 결손 부위를 메움 (3) 각막내피 지표 1) 세포면적의 변이계수 (coefficient of variation CV, 평균세포면적의 표준편차/ 평균세포면적) : 정상각막에서는 약 0.25 ① 각막내피세포부전의 가장 민감한 척도 §’18 ② 세포면적의 다양성이 증가하는 것 = 다면성(polymegathism) 2) 육각형의 세포가 차지하는 비율 : 정상에서는 약 70~80% ① 육각형 세포가 줄어드는 것 : 다형성(pleomorphism) ② Hexagonality는 각막내피세포손상 회복의 경과에 가장 좋은 척도 ..

진균각막염

* Fungal keratitis Filamentous fungi (mold) 사상진균 Yeast 효모 Hyphae Pseudohyphae(budding) 1. 남자에 호발 (옥외활동 , 외상위험 ­) 2. 봄, 가을 3. 농부 4. 식물, 톱밥, 흙에 오염된 이물 - 각막외상 5. no predisposing factor 6. 미용목적, 무수정체 CL 7. 온대, 열대지방 1. compromised host 2. 선재하는 각막질환에 의한 기회감염 1) Atopy 2) Topical steroid 장기점안 3) KCS (Sjogren synd) 4) Neurotrophic keratitis 5) Herpes keratitis (steroid 치료 받은) 6) SJS 3. T-lens ¥¥ 외상후 1~2일..

각막이상증

* ICE 신드롬은 ICE cell(dark/light reversal)소견이 보임. Fuchs는 구타타가 있고 중년의 여성에게 나타남. PPMD는 양안 평행한 밴드모양의 내피 병변이있고 각막상피, 간질부종은 흔하지 않다는 것으로 감별. * PPMD 대부분 20~30대에 발병하며, 양측성이다. AD. 대부분 무증상이며, 비진행성이다. 띠 모양 병변(band lesion)은 수평 방향의 구불구불한 선이 끝부분에서 서로 만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주변홍채앞유착은 환자의 약 27%에서 나타난다. 경면현미경에서는 수포가 0.1 ~ 1.00mm 직경으로 경계가 분명한 둥근 모양이나 내피의 정상적인 육각형을 가리는 검은 점들로 보인다. 내피세포는 정형적인 정상크기, 수가 적고 밀집된 형태, 크기가 크고 다형성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