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안근부착부 ~ 각막윤부 거리
MR(5)< IR(6)< LR(7)< SR(8)< SO(13.8)< IO(17)
* 안구접촉길이 (Arc of contact)
IO > LR > SO > IR, SR > MR
* Tendon 길이 [t]
SO > LR (8) > SR (6) > IR (5) > MR (4) > IO
* 근육 전체 길이
SO > SR > LR > IR > MR(직근은 비슷..)> IO
* Pulley 길이 (직근 4개에만 있음)
MR (19) > LR (15) > SR (14) > IR (13)
* MR : 가장 강한 근육
SO : 가장 길고 가장 얇은 근육
IO : 근육이 가장 짧아서 외안부 부착부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황반부 근처에 길고 얇게 부착
* 근부착부에서 하사근이 가장 얇다.
* 직근과 직근 사이의 거리는 6~8mm이며 직근의 폭보다 짧다.
* 상직근, 하직근은 23도, 상사근 43? 54?도, 하사근은 51도 차이
**쉐링톤 법칙(Sherrington’s law)
:작용근 수축하면 대항근(antagonist) 이완
:예외 - DRS, aberrant regeneration
**헤링의 법칙 (Hering’s law)
: 두눈의 동향근에 동시에 같은 강도의 신경자극 전달
: 예외 - DVD, DRS
Synergistic divergence
Intermittent XT
Asymmetric converg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