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질환 백과사전/사시

핵상로와 눈운동이상

Phaco c PCL 2021. 9. 1. 15:34

핵상장애

A. 신경핵사이눈근육마비(INO, internuclear ophthalmoplegia)

MLF의 병변으로 같은쪽 눈의 내전마비 발생.

병변 반대쪽 수평주시 때 반대쪽 눈의 외전은 일어난다. 외전하는 눈에서 눈떨림이 일어난다.

눈모음은 일어난다.

midpons oculomotor nucleus사이의 MLF 이상으로 발생하는 동측 눈의 내전마비가 일어나는 수평주시장애.

INO는 스큐편위와 겸하는 수가 있는데 스큐편위는 이석-안구 연결의 장애로 인하며 병변쪽 눈이 상사시가 된다.

젊은이 주로 다발경화증(MS), 양측 / 노인 주로 혈관질환, 일측성

 

frontal eye field

paramedian pontine reticular formation

 

B. 수평 1½ 증후군 (Horizontal one and a half syndrome)

병변이 있는 눈: 내전, 외전 둘다 안됨.

반대 눈: 외전만 된다.

 

C. 스큐편위 (Skew deviation)

안구기울임반응(OTR)은 한쪽으로의 머리기울임, 기울인 쪽 안구의 하사시(Skew deviation), 기울인 쪽 방향으로의 두눈회선으로 정의된다.

주로 뇌간이나 소뇌 손상에 의해 발생하며 특징적인 활차신경 또는 상사근의 손상 양상에 맞지 않는 비교적 일치성의 후천성 상사시로 후두와(posterior fossa) 병변이다.

경로: 말초전정기관  전정핵 – MLF - Cajal사이질핵, riMLF에 도달 (-3, 6번 신경핵  안구수직운동)

환자의 머리는 기울어있지만 주관적으로 머리기울임을 의식하지 못하고 수직복시를 호소

신경핵사이눈근육마비(INO)와 동반될 때는 병변쪽의 눈이 상사시이다.

상사근마비(SOP)와 구별하기

        i. 상사근마비는 상사시안이 외회선, 스큐편위의 경우 상사시안이 내회선을 보임

       ii. Upright-supine test: 머리가 곧게 선 자세에서 누웠을 때 사시각이 50%이상 감소하면 스큐편위를 의심

 

D. 양상전근마비(double elevator palsy)

- 제일눈위치, 내전, 외전 위치에서 눈의 상전이 되지 않고 그 외의 눈운동은 정상인 상태.

- 정상안주시때 마비안은 정상안위 또는 하전되어 있으며 눈꺼풀처짐이 관찰되고, 마비안주시시 눈꺼풀처짐은

없어지며 정상안은 상전되고 주시시 chin up 경향이 있음

- 선천양상전근마비 환자 : 일차적인 하직근장애, 상직근마비, 선천핵상로 병변 있는 3군으로 나눔

- 후천양상전근마비 환자 : 대개 핵상로 병변(동안신경의 핵아래 마비로도 발생 가능)

 

'안과질환 백과사전 > 사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수한 형태의 사시  (0) 2021.09.05
마비사시  (0) 2021.09.04
A-V형 사시  (0) 2021.08.31
회선수직편위  (0) 2021.08.30
외편위  (0) 2021.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