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나이가 들수록 수정체의 굴절률은 감소하지만 무게, 두께, 핵경화도, 혼탁도는 감소하지 않는다.
2. 노화에 따라 수정체의 모양은 앞면보다 뒷면이 볼록한 편원 형태의 구형(ablate spheroid)으로 출생 시에는 적도부의 지름 6.4mm, 전극과 후극 간의 두께 3.5mm, 무게가 90mg이지만, 성인이 되면 적도부의 지름 9mm, 전극과 후극 간의 두께 5mm, 무게 255mg이 된다. 유년기에는 볼록한 원반형이지만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납작한 원반형으로 변하면서 일생을 거쳐 성장한다. 또한 나이가 들면 피질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워지고 수정체의 굴곡이 심해져 굴절력이 증가하지만 불용성 단백입자가 늘어나기 때문에 굴절률(index of refraction)은 오히려 감소한다. 전낭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두께가 증가하지만 후낭은 수정체낭 중에서 항상 가장 얇다. 핵백내장은 음성구면수차와 근시 변화를 일으킨다. 태생기 수정체는 매우 흐린 황색이지만 나이가 들면 황금색 또는 진한 갈색으로 진해진다. 이를 갈색화라고 하는데, 혼탁과는 다른 개념의 변화이다.
3. 수정체의 노화에 따라 시간이 지날수록 수정체 단백질은 비수용성이 되는데, 뭉쳐서 상당히 큰 덩어리를 형성하게 되면 빛을 산란시키고 수정체혼탁을 유발한다. 산화손상이 피질에서 시작한다는 내용은 없다. 오히려 수정체 상피세포에는 카탈라아제가 풍부하여 산화스트레스 막는다.
4. 나이가 들면 피질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워진다. 피질 내의 수정체섬유세포는 일생 동안 계속 증가한다. 전낭은 수정체상피세포의 기저막 역할을 하지만 후낭은 수정체섬유세포에 인접한 얇은 막으로 존재한다. 전낭은 중간주변부(midperiphery)가 가장 두꺼우며 변연부로 갈수록 얇아진다.
5. 전낭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두께가 증가하지만 후낭은 수정체낭 중에서 항상 가장 얇다. 전낭은 중간주변부(midperiphery)가 가장 두꺼우며 변연부로 갈수록 얇아진다. 어린이의 수정체는 수정체낭이 질기고 유리체가 굳은 편이며 피질과 핵이 연해 흡인하기 쉬운 반면 나이가 들면서 수정체낭이 약해지고 유리체는 묽어지며 핵은 단단해지는 변화를 보인다.(소아의 전낭은 성인에 비해 탄력성이 좋다) 백내장수술로 인해 피질 부분이 전부 제거된 상태에서 전낭 안쪽에 남아 있던 수정체상피세포들은 수정체낭을 따라 미끄러져 들어가면서 적도부근에서 수정체섬유세포로 분화된다. 이 세포들이 계속해서 후낭을 따라 뒤쪽으로 이동하면서 풍선세포(balloon cell)를 만들거나 유리나 섬유 같은 반점돌기를 형성하여 수정체후낭혼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후발백내장이 생기면 후낭의 탄력성이 저하되어 후낭절개술을 시행해도 잘 말려들지 않는다.
6. 전낭은 수정체상피세포의 기저막 역할을 하지만 후낭은 수정체섬유세포에 인접한 얇은 막으로 존재한다. 태아핵에서는 전극쪽에 Y봉합선과 후극 쪽에 대칭되는 위치에 역Y봉합선이 나타나는데, 세극등현미경으로 관찰이 가능하다. 핵백내장은 음성 구면수차와 근시 변화를 일으키는 수정체핵 내의 대칭적인 굴절지수의 변화에 의해 근시 굴절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피질백내방은 코마수차 및 난시 변화를 나타낸다. 후낭하백내장의 경우에는 투명수정체와 비슷한 연령에 따른 굴절변화를 보인다. 수정체의 모양은 앞면보다 뒷면이 볼록한 편원 형태의 구형(ablate spheroid)으로 출생 시에는 적도부의 지름 6.4mm, 전극과 후극 간의 두께 3.5mm, 무게가 90mg이지만, 성인이 되면 적도부의 지름 9mm, 전극과 후극 간의 두께 5mm, 무게 255mg이 된다. 후낭에서도 주변중심부가 가장 두껍습니다.
7. 전낭은 수정체상피세포의 기저막 역할을 하지만 후낭은 수정체섬유세포에 인접한 얇은 막으로 존재한다. 전낭은 중간주변부(midperiphery)가 가장 두꺼우며 변연부로 갈수록 얇아진다. 4) 후낭에서도 주변중심부가 가장 두껍다. 전낭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두께가 증가하지만 후낭은 수정체낭 중에서 항상 가장 얇다.
'안과질환 백과사전 > 백내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내장 수술의 마취 (0) | 2021.05.22 |
---|---|
수정체 유화술의 역동학 (0) | 2021.05.21 |
P-cap (0) | 2021.05.20 |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 공식 선택 (0) | 2021.05.18 |
Sulcus-Implanted IOL (0) | 2021.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