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래 사진은 눈뒤마취의 사진으로 방법과 합병증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알아야한다.
눈뒤마취(구후마취, 근원추내마취)
- 안구 뒤쪽 4개의 직근들 안쪽 공간인 근원추 내에 국소마취 제 주입
- 처음에는 안와 바닥을 따라 안구와 평행하게 진행, 적도를 지나면 방향을 위쪽으로 변경하여 안구의 중앙 세로면을 넘지 않도록 주의하여 마취제 주입
* 바늘의 모양, 주입시 환자의 눈의 위치와 주입 부위등이 과거 개념과 달라짐
- 바늘의 모양
: 23G 정도의 날카로운 바늘이 조직을 덜 손상시키고 통증, 출혈이 적어 선호됨
: 되도록 크기가 작은 주사기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함
- 주입시 환자의 눈의 위치와 방법
: 과거에는 안구를 상전, 내전시킨 상태에서 바늘의 근원추의 하이측으로부터 접근
시키는 방법인 Atkinson 기법이 표준이었음. 안구나 시신경이 손상될 가능성이 커서
현재는 환자로 하여금 제일 안위를 취하게 하여 심각한 합병증을 피할 수 있음.
-주사바늘을 삽입하는 경피적 위치
: 과거에는 하이측 1/3 지점이 선호되었으나, 하직근이나 하사근 신경혈관총의 손상이
보고됨에 따라 가능한 하이측 가장자리를 이용하는 것이 권유되고 있음.
-안와꼭지로 주입은 위험성이 크고 긴 바늘은 구후출혈이나 시신경 손상을 쉽게 일으킴
-바늘이 안와연에서 31mm 를 초과하여 진행해서는 안되며, 세로축을 기준으로 한 앙선을 침범해서는 안된다. 진행시 바늘은 안구에 항상 평행하여야 하며, 주사기 바늘의 경사진 면은 항상 안구쪽을 향하게 해야 천공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음.
2. 백내장 수술을 위한 눈뒤마취를 시행한 직후 갑작스런 눈의 심한 통증을 호소하였으며 결막하 출혈, 안구돌출을 동반하였다면 눈뒤출혈을 의심할 수 있다.
눈뒤출혈은 정맥으로부터의 출혈은 서서히 파급, 동맥으로부터의 출혈은 눈꺼풀부종이 빠른 속도로 진행하여 현저한 안구돌출, 안검과 결막 부위의 심한 혈액착색을 나타내며 안구로의 혈액공급에 심각한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 처치
바늘을 조심스럽게 뺀 후에 관찰하고 즉시 압박하면 출혈을 최소화
삼투성 이뇨제, 전방천자, 외안각절개
◆ 예방
1) 조심스럽고 부드럽게 바늘을 진행
2) 바늘을 돌리거나 좌우로 움직이면 안됨
3) 가는 바늘 사용 (바늘의 굵기가 출혈의 양을 결정)
4) 혈관이 풍부한 안와 꼭지와 상비측 부위 피할것
'안과질환 백과사전 > 백내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내장 수술 (0) | 2021.05.23 |
---|---|
백내장수술 전 준비 (0) | 2021.05.22 |
수정체 유화술의 역동학 (0) | 2021.05.21 |
수정체의 구조와 생리 (0) | 2021.05.21 |
P-cap (0) | 2021.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