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머리돌림 방향으로 prism BO!! 머리돌림이 우측이면 프리즘 기저부를 양안 모두 우측으로
영아눈떨림증후군(Infantile nystagmus syndrome)
(1) 임상양상
- 주시하려고 집중하거나 불안할 때 눈떨림이 심해지며, 눈을 감거나 눈모음 때는 감소한다.
- 정지구역(null point): 특정방향을 주시할 때 눈떨림이 줄어든다. 많은 환자들이 정지구역으로 물
체를 보기위해 머리를 돌린다.
- 저속기가 증속형이거나 시계추형인 경우가 가장 흔하다.
- 망막중심오목 주시시간: 각 주기에서 고속기가 끝난 후 잠깐동안 눈이 정지하여 물체를 보게되
는 시간. 후천눈떨림에서는 매우 드물게 나타남.
- 망막중심오목 주시시간으로 인해 영아눈떨림에서는 눈이 끊임없이 움직이는데도 불구하고 진동
시를 느끼지 않고, 대체로 시력이 좋다.
- 대부분 영아내사시와 동반되는 잠복눈떨림과 달리 영아눈떨림은 15~30% 정도에서 사시가 동반
된다.
- 동향운동이나 눈모음으로 눈떨림이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 머리를 돌려 눈떨림을 감소시키거
나 내사시를 유발하여 눈떨림을 억제하기도 한다.
- 눈떨림억제증후군(Nystagmus blockage syndrome): 내사시를 유발하여 눈떨림을 억제하는 것
(2) 치료
- 근거리주시 때 눈떨림이 줄어드는 경우에는 두 눈에 프리즘을 바닥가쪽으로 사용할 수 있다.
- 프리즘을 이용해 정지구역쪽으로 눈을 돌리면 눈떨림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실제로는 대부분 머
리돌림으로 눈떨림이 감소되므로 프리즘이 필요한 경우는 드물다.
- 수술치료의 두 가지 목적: 이상두위 교정 / 눈떨림진폭 감소
- 머리돌림이 있을 때는 Anderson-Kestenbaum수술 시행. 정지구역이 정면으로 오게 하는 것.
(예: 정지점이 왼쪽 주시에 있다면 환자는 오른쪽으로 얼굴을 돌리고 봄. -> 왼눈 외직근 후전,
내직근 절제, 오른눈 내직근 후전, 외직근 절제)
- 머리기울임이 있을 때는 사근을 수술.
- 이상두위가 없고 눈모음으로 눈떨림이 감소하는 경우: 인위적으로 눈벌림을 만드는 수술, 즉내
직근후전을 고려.
잠복눈떨림(Latent nystagmus)
(1) 임상양상
- 두 눈으로 볼 때는 나타나지 않지만 한 눈을 가리면 나타나는 감속형 저속기를 가진 수평된눈떨
림
- 주시하는 눈쪽으로 고속기가 나타나는 특징.
- 한 눈으로 볼때만 나타나므로 반대쪽눈으로 보는 상은 억제한다. 반대쪽 눈을 가리면 고속기 방
향이 주시안쪽으로 바뀐다.
- 잠복눈떨림은 대체로 신속기 방향으로 주시할 때 진폭이 커지는 Alexander법칙을 따른다. 일부
에서는 눈떨림이 가장 적게 나타나는 내전된 위치로 보기 위해서 주시안쪽으로 머리를 돌린다.
- 대개 사시와 동반되며 내사시가 대부분이다.- 한 눈을 가리면 눈떨림이 심해지고 시력도 떨어진다.
- 잠복눈떨림환자에서 시력 잴 때는 +5.00~+8.00D 렌즈로 한눈을 가리고 측정하는 것이 좋다.
-수직해리사시와 동반되기도 함.
① 병인
-양안시발달이상으로 시피질 운동처리능력이상이 생겨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됨.
끄덕임연축(spasmus nutans)
- 눈떨림, 머리끄덕임, 이상두위 끄덕임연축의 3징후
- 대개 1세 이전에 시작.
- 신경이상 없고, 사시나 약시 동반되기도 함.
- 눈떨림이 대개 간헐적이며 진폭이 매우 작고 주파수가 높은 시계추형이다.
- 두 눈의 눈떨림양상이 다르거나 한눈에만 나타나기도 한다.
- 눈떨림은 주로 수평으로 나타나지만 수직이나 회선양상도 있다.
4) 후천시계추눈떨림(acquired pendular nystagmus)
5) 시소눈떨림(see-saw nystagmus)
-시신경교차나 Cajal사이질핵 부위 병변이나 망막질환 때 나타날 수 있다.
6) 주시유발눈떨림(gaze-evoked nystagmus)
- 제일눈위치를 벗어난 주시를 유지하기 위한 작용에서 비롯, 임상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다.
- 생리적: 극위눈떨림(endpoint nystagmus) vs. 병적: 주시마비눈떨림(gaze paretic nystagmus)
7) 주기교대눈떨림(periodic alternating nystagmus, PAN)
- 정면 볼 때 1-2분간 한쪽방향으로 고속기 있다가 10-20초간 정지기 있고, 다음 1-2분은 반대방
향으로 고속기를 보이는 것이 2-3분 주기로 반복되는 수평된눈떨림.
- 후천눈떨림 중 유일하게 약물치료(Baclofen)로 호전.
- 선천성인 경우 백색증과 연관.
8) 감각소실눈떨림(sensory-loss nystagmus)
9) 눈모음후퇴눈떨림(convergence-retraction nystagmus)
10) Brun안진
11) 반동안진
12) 안구개진전
'안과질환 백과사전 > 사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수술치료의 종류와 원칙 (0) | 2021.09.06 |
---|---|
특수한 형태의 사시 (0) | 2021.09.05 |
마비사시 (0) | 2021.09.04 |
핵상로와 눈운동이상 (0) | 2021.09.01 |
A-V형 사시 (0) | 2021.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