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각막봉합
1) 봉합은 각막기질의 90% 깊이로 한다.
2) 봉합순서는, 주변부를 먼저 길고 편평하게 봉합하여 본래의 편평한 모양을 유지à중앙부를 좁고 얕게 봉합하여 각막의 중심부가 가파른 정상 각막 형태 유지.
3) 봉합을 할 때에는 바늘 끝이 각막 표면과 수직이 되도록 한다.
4) 창상에 홍채물림이 있는 경우 전방천자 부위로 기구나 점탄물을 이용하여 홍채를 제 위치로 돌려놓고 열상을 봉합해야 한다. 상처부위가 오염되거나 시간이 오래 경과하여 조직괴사나 오염이 의심되면 탈출된 홍채를 제거한 후 봉합한다.
열상 부위에 홍채 물림이 있을 때는 경우에 따라 절제한다.
홍채를 제거 하는 경우-
① 24 시간 이상 노출된 경우
② 손상이 심하고 탈색된 경우
③ 이물이 박혀있는 경우
④ 표피 상피화가 형성된 경우
5) 각막 열상의 크기가 2mm 보다 크거나 열상 부위가 어긋난 경우, 각막조직의 일부가 소실된 경우, 홍채나 안내 조직의 탈출이나 끼임이 동반된 경우에는 봉합이 원칙이다. 비천공 열상이라도 상처경계가 많이 벌어지거나 겹쳐지는 경우와 조직 일부가 떨어져 매달려 있는 경우에는 봉합한다.
수직 열상과 비스듬한 열상이 같은 창상에 있으면, 수직열상을 먼저 봉합하고, 비스듬한 열상은 최소한의 장력을 사용하여 봉합한다. 비스듬히 잘린 열상의 경우 열상의 안쪽에서 같은 깊이와 폭으로 봉합해야 한다.
'안과질환 백과사전 > 각결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감염성 비면역성 결막질환 (0) | 2021.06.08 |
---|---|
비감염성 비면역성 각막질환 (0) | 2021.06.08 |
선천이상과 동반된 각결막 질환 (0) | 2021.06.08 |
면역성 주변각막질환 (0) | 2021.06.07 |
알레르기결막염, 기타 감염결막염 (0) | 2021.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