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시 17

감각기능 검사

* 바골리니 렌즈검사의 장점은 잔상과 같은 인위적인 자극 없이 통상적인 보는 환경에 가장 가까운 조건에서 행해진다는 것이다. * 바골리니렌즈, 위상차하플로스코우프, 신옵토포어, 빨강필터, Worth4등검사, 음성잔상, 양성잔상 순서 : 바위신발4잔 Brükner test : 각막반사와 안저에서 반사되는 빛의 밝기로서 사시 유무 판정 ***브루크너 검사 (Brükner test) -협조가 되지 않는 어린이나 미세사시등에서 일차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방법 -각막반사와 안저에서 반사되는 빛의 밝기로서 사시 유무 판정 -산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직상검안경을 약 1m 거리에서 아기의 두 눈 중앙에 비춘다 -주시안은 어둡게, 사시안은 밝게 보인다. -거짓양성 ① 정상적으로 생후 10개월까지 ② 굴절부등, 동공이상, ..

양안시, 감각적응

**경험호롭터 : 일정한 주시거리에서 대응망막점에 맺히는 점들을 연결한 가상선 **파눔융합구역 : 삼차원 모든 물체는 호롭터 앞쪽 또는 뒤쪽에 위치하여 비대응망막점을 자극하게 되는데, 뇌에서는 약간의 오차를 보이는 상이 융합하여 하나의 물체로 인식하게 되는 호롭터 앞뒤의 한정된 부분 **한눈단서 : 한눈으로도 물체의 멀고 가까움을 알아내는 요인, 경험에 의해 후천적으로 얻어짐. – 움직임 파라락스, 직선원근법, 형태겹침, 빛과 그림자분포, 물체 크기, 대기원근법 Panum융합구역 내에서 융합이 있으면서 수평시차가 있는 망막상에서 얻어진 삼차원의 지각을 입체시라고한다. 수평으로 떨어진 점에 의해 입체시가 생기고, 수직으로 떨어진 점은 입체시를 유발하지 않는다

근거리주시복합운동

***렌즈차이용법(Lens Gradient method): AC/A ratio= (∆ℓ-∆o)/D ∆o : 렌즈를 대기 전 편위각, ∆ℓ : 렌즈를 댔을 때의 편위각, D : 이용한 렌즈도수 -1.0D 렌즈를 대었는데 사시각이 증가한 것은 내사시! 외사시(-렌즈로 사시각 감소)는 양의값, 내사시(+렌즈로 사시각 감소)는 음의값으로! 증가한 사시각50PD가 원거리인 경우; AC/A ratio = {-50-(-10)}/-1 = 40 증가한 사시각50PD가 근거리인 경우; AC/A ratio = {-50-(-35)}/-1 = 15 *** 원-근거리사시각이용법(Heterophoria method) AC/A = PD + (∆n-∆o)/D PD: 동공간거리(cm), ∆n : 근거리편위각, ∆o : 원거리편위각, D..

외안근 구조와 운동생리

* 외안근부착부 ~ 각막윤부 거리 MR(5) LR > SO > IR, SR > MR * Tendon 길이 [t] SO > LR (8) > SR (6) > IR (5) > MR (4) > IO * 근육 전체 길이 SO > SR > LR > IR > MR(직근은 비슷..)> IO * Pulley 길이 (직근 4개에만 있음) MR (19) > LR (15) > SR (14) > IR (13) * MR : 가장 강한 근육 SO : 가장 길고 가장 얇은 근육 IO : 근육이 가장 짧아서 외안부 부착부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황반부 근처에 길고 얇게 부착 * 근부착부에서 하사근이 가장 얇다. ..

시력발달

* Brückner 검사 - 희미한 조명 아래 1m 거리에서 직접검안경으로 양안에 동시에 빛을 비추어 안저에서 반사되는 빛의 밝기와 위치로 약시나 굴절이상, 사시 등을 추정할 수 있는 검사 - 주시안은 어둡게, 사시안은 밝게 보임. * 망막중심오목은 망막주변부보다 비교적 일찍 형성되지만 출생시까지도 여전히 미성숙한 상태이다. 생후 15개월 경이 되어서야 망막중심오목함몰이 완성된다. * 수평추종운동 불일치 : 신생아의 주시안 앞에서 주시목표물을 코쪽으로 움직이면 유연한 수평추정눈운동을 보이지만, 주시물체를 귀쪽으로 움직이면 수평추종이 없거나 격동운동을 보이는 것. 이는 시피질중추의 두눈 연결이 미숙함을 의미함. 생후 4~6개월이 지나면 자연히 소실되어야 하나 생후 6개월 이후에도 존재한다면 시피질의 두눈 ..

Head tilt test

요즘은 Head tilt test를 잘 하지는 않는 것 같지만 언제 하실지 모르니 1, 2년차는 반드시 알아둬야함. (99보면 ocular torticollis 감별위해 재활의학과에서 얘기들 많이보냄. 별거 아니니 r/o ocular torticollis로 imp 잘 달고 6번방 넣으면 됨.(보통 안과문제 아니라서 r/o 붙이기) Head tilt test 해서 넣으면 문과장님이 이 친구 뭔가 아는구나 하고 생각하실거니 도전해보길) Positive Bielschowsky head tilt test for a child who has right superior oblique palsy. (A) He has left laterocollis aggravated by staring at objects. (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