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망막괴사 (ARN)
1) 정의 및 진단 : 1. 주변부 망막에 하나 이상의 경계가 분명한 망막괴사
2. 치료하지 않을 경우 급속히 진행하는 병변
3. 측면으로의 확산
4. 폐쇄성 소동맥 혈관병증
5. 심한 유리체와 전방의 염증
2) 원인: VSZ, HSV1,2, CMV, EBV, 전신스테로이드 사용 후 발생
3) 임상소견
1. 불편감, 충혈, 광시증, 안구통증, 앞포도막염, 상공막염
2. 망막 주변부 여러 개의 경계가 분명한 황백색 망막병변 (출혈은 경함)
3. 혈관폐쇄 (동맥>정맥)
4. 망막괴사 융합되면서 후극부로 진행
5. 유두부종, 회복기에 망막괴사로 얇아지고 4~6주 뒤 multiple break과 함께 열공망막박리 (흔한 합병증), 반대편 발병 (36%)
4) 치료: 시력의 빠른 회복과 반대편 눈의 예방이 중요
1. 항바이러스제: 반대편 눈에 이환될 확률을 줄이는 효과. 망막박리에는 예방적 효과가 없음
-Acyclovir: CMV에는 효과 없음: 정맥 주사 (7-10일), 5회/일 경구투여 (6주) 병변 완전 소실에는 한 달 정도 소요 (Valacyclovir, Famciclovir, Valganciclovir)
2. Intravitreal anti-viral injection (ganciclovir, foscarnet): 효과 있음
3. Systemic steroid: 유리체 염증이나 혼탁을 감소 위해. 항바이러스 사용 후 24~48시간 이후부터 사용, 점차적으로 tapering
4. Topical steroid: 앞포도막염 치료를 위해
5. Prophylactic barrier laser: 망막박리 예방 위해. 괴사된 망막의 후극부 쪽의 건강한 망막에 시행, 망막염 진행을 막을 수는 없음. 망막염 진행할 경우, 여러 번의 치료가 필요
6. Vitrectomy: 망막 박리가 발생할 경우. 공막돌륭술은 별 효과 없음. 시력 예후는 나쁨
'안과질환 백과사전 > 망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대세포바이러스 망막염 (0) | 2021.07.16 |
---|---|
톡소플라스마증, 눈개회충증 (0) | 2021.07.16 |
AMD, PCV, RAP (0) | 2021.06.23 |
특발성 중심와부근 모세혈관 확장증 (0) | 2021.06.23 |
망막대동맥류 (0) | 2021.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