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질환 백과사전/망막

톡소플라스마증, 눈개회충증

Phaco c PCL 2021. 7. 16. 13:19

톡소플라스마증 (Ocular Toxoplasmosis)

감염성 맥락망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 / 소아 Posterior uveitis의 가장 흔한 원인

1) 전파:

1. 감염된 고기 조리하지 않고 섭취, 오염된 손, 피부, 위생처리 안된 우유

2. 장기이식, 태반전이 (선천성) → 경련, 두개 내 석회화, 망락맥락막염

 

2) 임상양상

1. 망막에서 시작 - 국소적인 괴사성 망막염 -> 맥락막까지 침범

2. 급성: 부드러운 크림색, 경계모호, 둥근타원(headlight in fog)

만성: 회백색, 경계분명, 색소침착

3. 시신경염, 앞포도막염, 삼출 망막박리, 신생혈관, 망막정막폐쇄, 망막출혈, 이차성녹내장(m/c)

 

3) 진단

1. 특징적 임상양상으로 진단 가능

2. 혈청검사: IgM Antibody (Sabin-Feldman dye test)특이성 떨어지고 위 양성률이 높다

 

4) 치료

1. 치료기준: 병변의 위치와 양상에 따라 결정, 면역력 정상인은 자연적 치료

→ 이측 혈관궁 내 병변 / 시신경 or 큰 망막혈관 침범 / 큰 출혈 / 심한 유리체 염증 (<0.5) / 자주 재발 => 후극부의 크고 파괴적 병변, 시력저하 시

2. 약제: 항생제 (Primethamine, sulfadiazine, clindamycin) + steroid 병합 4~6주동안

    -> P+S+Steriod (고전적으로 흔히 쓰는 방법) + C도 추가하기도 함

 

눈 개회충증 (Toxocariasis)

1)전파: 생고기, 생간섭취 → 이식증 기왕력

2)임상양상: 회색의 염증성 종괴 (후극부 육아종)->견인띠 형성, 만성안내염

3)진단: serum ELISA, IgE 상승

4)치료: Albendazole + steroid

'안과질환 백과사전 > 망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내결핵, 눈 매독  (0) 2021.07.18
거대세포바이러스 망막염  (0) 2021.07.16
급성망막괴사, Acute retinal necrosis  (0) 2021.07.08
AMD, PCV, RAP  (0) 2021.06.23
특발성 중심와부근 모세혈관 확장증  (0) 2021.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