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주입
1. 머리는 옆으로 돌려 천공부위가 가장 높게 한다
2. 대개 상이측 limbus에서 3.5~4.0 mm(무, 위수정체:3mm) 떨어진 pars plana 통해
3. 주사침을 공막에 수직이 되게 찔러 넣고(큰 망막열공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
다시 조금 빼서 3~5mm 만 눈 속에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한번에 주입
: 가스 양은 1.0㎖ 목표: SF6: 0.5-0.6㎖ (2배 팽창)-36시간내, 2주지속
C3F8:0.3-0.4㎖(4배 팽창)-3일내, 4-6주지속
“물고기알 Fish-egg”가스방울 방지방법
1) 천공부위를 가장 높게 하고
2) 주사침을 너무 깊지 않게
3) 단숨에(한번에) 주입
4) 주사기를 공막에 수직, 큰 망막열공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에 시행
5) 방울이 주사바늘 주위에 생기게 함
4. 다 주입하면 면봉을 댄 채로 주사침 빼고 안구를 원래 위치로 돌려 가스가 빠지지 않게 하여 주사침 제거
5. indirect로 CRA pulsation 관찰
6. 전방천자(필요하면 수술전에), 가스주입부 피해서 gentamicin 20mg SC주입.
7. 항생제/스테로이드 점안.
공막 돌륭술의 비적응증
(Tear가 너무 크거나 퍼져 있거나 후극부쪽일때 견인있거나 suture 힘들때 )
1. 여러 개의 열공이 불규칙적으로 배열
2. 거대 열공 (encircling은 가능!)
3. 열공이 너무 뒤에 있는 경우
4. 황반원공
5. PVR C1 이상
6. 공막 노출이 어려운 경우
7. 공막의 결함
망막하액배출술
* 이상적인 위치 : 내외직근의 상하(2시반, 4시, 8시, 9시반)
상하직근의 바로 아래(6, 12시)
박리가 큰 쪽, 돌륭술할 부위
* 피해야할 자리 : 안구뒤쪽, 냉동법 시술자리, 열공부 근처, 또아리 정맥, 긴뒤모양체동맥, 신경 지나는 곳
* 망막하액의 배출은 열공으로부터 조금 떨어진 거리에서 시행하여야 망막하액과 유리체액이 열공을 통하여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 합병증 : 눈속출혈, 의인성 망막열공, 유리체탈출, retinal incarceration, 맥락막출혈
공막돌륭술 비적응증
① 여러 개의 열공이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
② 거대열공 : 한사분역 이상 + 적도 뒤로 넓게 퍼져있고 견인력 심할 때
③ 열공이 너무 뒤에 있는 경우 : 적도보다 뒤에 있는 경우
④ 황반원공
⑤ 증식유리체망막병증 : C1단계 이상 (망막앞 or 망막하증식막 존재)
⑥ 공막노출이 어려운 경우 : 안구외상이나 재주수술 경우처엄 외안근과 결막하 조직 유착
⑦ 공막의 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