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질환 백과사전/성형안과

갑상샘눈병증

Phaco c PCL 2021. 6. 3. 10:51

* 소아의 갑상샘눈병증은 성인에게서 발생되는 대부분의 증상이 생길 수 있으나 그 정도는 성인에 비하여 심하지 않고 좋은 예후를 보이므로 대부분의 경우에서 보존적 치료로 충분할 수 있다. 흡연은 가장 중요한 환경인자로서 그 자세한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임상 연구결과, 흡연은 갑상샘눈병증의 발생을 증가시키며, 기존의 눈병증을 악화시키고, 치료에 대한 반응을 저하시키며, 갑상샘에 대한 방사성요오드 치료 후 의 눈병증 악화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중증 눈병증의 발생 위험은 남자 환자에서 더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생시기는 갑상샘기능항진증이 먼저 온 후 1년 내에 눈병증이 오는 경우(60~70%)가 제일 많으나, 갑상샘기능항진증과 갑상샘눈병증이 동시에 나타날 수도 있으며(20~22%), 갑상샘눈병증이 먼저 오고 난 후 갑상샘기능항진증이 1년 내에 오는 경우도 있다(8.3~20%). 심한 갑상샘눈병증 환자에서 TSHR항체의 수치가 높으며 이는 눈병증의 임상 정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면역 기전 중 체액면역 기전이 관련됨을 뒷받침 한다.

 

* 1) 피부접근법 : 쌍꺼풀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 수술 시간이 김. 박리를 많이 해야함. 가쪽부위의 교정이 어려우므로 가쪽 부위를 뿔쪽으로 박리를 더 광범위하게 해준 후 자른다.

2) 결막접근법 : 뮐러근을 눈꺼풀판 위 경계에서 절개한다.

 

* 안구돌출환자의 눈썹아래절개를 통한 외벽감압술 시행시 frontozygomatic suture를 관찰할 수 있다.

 

 * TAO에서 근육침범은 하직근, 내직근, 상직근, 외직근 순서로 호발하나 사근에도 침범할 수 있으며, 침범근육의 반대방향을 주시할 때 눈운동장애 및 복시를 유발한다정면주시 때 보다 상방주시 때 안압이 4mmHg 이상 증가하면 하직근의 제한을 의심할 수 있으며, 모든 안위에서 심각한 눈운동 제한이 있거나 안압이 정면보다 9mmHg 이상 증가하면 압박시신경병증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 갑상선 안병증에서 위 눈꺼풀 뒷당김의 원인

 1. 교감신경 자극으로 인한 뮬러근의 과다수축

 2. 눈꺼풀 올림근, 널힘줄, 뮬러근의 섬유화와 수축

 3. 눈꺼풀 올림근, 눈둘레근의 안와 사이막과의 융합

 4. 제한성 하사시에 대한 눈꺼풀 올림근, 상직근 복합체의 과다수축

 5. 안구 돌출로 인한 눈꺼풀뒷당김의 악화

 

* 아랫눈꺼풀에 후퇴에 대한 수술은 spacer를 삽입하고 가측눈구석인대로 높게 부착한다.

 

 

* Bony strut(경계골): 안와하벽과 내벽이 만나는 곳. 경계골의 앞쪽까지 다 제거하는 경우는 안구의 지지가 안되어 하내측으로 안구편위가 생기므로 경계골의 앞쪽은 남기고 뒤쪽만 제거하여야 안구편위없이 눈이 뒤로 들어가는 효과

 

* Fronto-ethmoidal suture(이마벌집뼈봉합): 골벽제거와 벌집굴제거를 멈추어야 하는 곳. 이곳을 넘어 박리하면 앞, 뒤벌집동맥에 송상을 주어 출혈이 되거나 체모양판을 뚫어 CSF 누출될수 있다.

 

 

 

'안과질환 백과사전 > 성형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안구 결막낭의 재건  (0) 2021.06.03
안구제거술  (0) 2021.06.03
눈물기관 질환의 진단 및 치료  (0) 2021.06.02
본태눈꺼풀연축  (0) 2021.06.02
눈꺼풀 종양  (0) 2021.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