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질환 24

눈영양제 series4 : 타겐에프

Vaccinium Myrtillus 성분으로 빌베리에 함유된 성분이다. 주성분인 안토시아노이드는 눈의 모세혈관을 보호, 강화시켜주고 시신경의 전달물질인 로돕신의 생성을 촉진하는 독특한 약리작용이 있다고 합니다. 안과 영역에서는 당뇨병에 의한 망막변성 및 눈의 혈관장애 개선, 고도근시, 야맹증 등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이 거의 없고 일반의약품이기에 눈영양제로 드시기 좋은 약입니다.

카테고리 없음 2022.03.20

눈영양제 series3 : 도베셀

엔테론의 몰락과 함께 떠오르는 약중 하나 Calcium dobesilate 성분으로 눈에서 많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여러 논문을 통해 알려진 많은 기능들이 있지만 2015년에 Zhang X, et al에 의한 Meta analysis 결과를 살펴보면 당뇨망막병증의 초기 소견인 안저출혈, 미세동맥류, 망막 삼출물의 호전을 가져오며 혈액 및 혈장의 점성을 낮추어 혈액 순환에 도움을 주며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고지혈증 치료에 도움이 되며 또한, 안압 감소 효과가 있어 녹내장에 대한 예방 및 치료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국내에서 처방 가능한 용량을 고려한다면 실질적으로는 당뇨망막병증의 초기 소견인 안저출혈, 미세동맥류, 망막 삼출물의 호전을 위해서만 사용가능합니다.

눈영양제 series2 : 엔테론

보험적용 변경으로 요즘 가장 이슈였던 약제인 엔테론! 섬유 합성촉진과 분해억제 효과로 혈관과 림프관을 구조적으로 튼튼하게 하여 마치 배수로를 잘 닦아 놓은 효과를 가져오게 하는 약으로 혈액과 림프액의 원활한 이동을 도와 조직액이 림프관으로 잘 배수되도록 해 부종을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돕는 약입니다. 이번에 변경된 부분은 망막, 맥락막 관련 안과 질환 적응증에 국한되었습니다. 허가사항은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황반부종을 동반하지 않은 중등도 이하의 비증식성 당뇨망막병증에 당뇨 원인요법과 병용해 보조제로 투여로 결정됐습니다. 기존 지침의 망막 장애로는 망막박리부터 열공, 장액성 망막 박리, 망막낭종, 망막혈관폐쇄, 동맥폐쇄, 망막혈관변화, 망막혈관염, 망막혈관집형성 등 다양한 적응증을 포괄하였으며 뿐..

눈영양제 series1 : 베셀듀에프

국내에서 처방가능한 유일한 설로덱사이드 (sulodexide) 성분의 눈 영양제 적응증 : 혈전의 위험성이 있는 혈관질환 1. 당뇨병성 망막병증 2. 망막동맥폐쇄(중심, 분지) 3. 망막정맥폐쇄(중심, 분지) 4. 주변부 망막 변성 5. 기타 망막 질환 망막병증에서 혈관벽이 손상되는 기전은 정상적으로 혈관벽의 구조적 안정성이 깨어지는 것입니다. 혈관벽의 손상은 혈액속의 단백질과 지질 성분의 누출을 야기하게 되고 이러한 누출된 단백질과 지질은 망막에 침착되게 됩니다. 이러한 침착이 오랫동안 지속되어 굳은 것이 경성삼출물(hard exudate)이라고 합니다. 이처럼 당뇨병으로 인한 혈관의 손상은 GAG(glycosaminoglycan)의 소실에 의함인데, 설로덱사이드는 혈관벽에 친화성을 갖는 헤파린(hep..

비수술치료의 종류와 원칙

약물치료 1) 축동제 -동공수축과 섬모체근을 자극하여 조절을 쉽게 하고 조절노력을 줄여준다.  조절눈모음 억제 -조절내사시 특히 비굴절조절내사시(높은 AC/A비)에서 사용되며 이때 AC/A비를 변화시키지는 않는 다. -전신마취 6주 전 축동제 사용을 중지해야 함.(전신마취 회복 시 감소된 콜린에스테라제로 인해 호 흡마비 나타날 수 있음) 2) 아트로핀 - 약시치료에 주로 사용되는데 좋은 눈에 아트로핀을 점안 - 최근에는 아트로핀을 근시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굴절이상을 교정하는 이유? 1) 망막에 선명한 상을 맺도록 하여 두 눈을 사용하고 융합하도록 자극 2) 조절과 눈모음 사이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데 도움 *프리즘치료 효과 1) 사시각 줄임 2) 일치사시에서 융합력을 ..

회선수직편위

해리수직편위 하사근기능항진(IOOA) 눈의 상전 제일눈위치, 내전, 외전 내전시에만 상전 상사근 기능 기능항진 있을수도 주로 기능저하 V형 - 흔히 나타남 반대쪽 상직근의 거짓마비 - 있음 재주시중 눈의 내회선 있음 - 재주시중 신속운동속도 10~200°/초 (더 느리다) 200~400°/초 (정상속도) 잠복눈떨림 흔히 나타남 - Bielschowsky 현상 흔히 나타남 -

내편위

* 영아내사시에서 나타나는 눈 운동 징후 ¥¥ ① 약시가 있거나 없는 내사시 ② 추종운동의 불일치 ③ 잠복눈떨림 ④ 운동시유발전위의 불일치와 운동인지 이상 ⑤ 이상머리위치와 외전제한 ⑥ 해리수직편위나 하사근기능항진 같은 수직편위 등 * 원시가 심하지만 내사시 보이지 않는 경우 1. 융합눈벌림이 충분할 때 2. AC/A 비가 낮을 때 3. 환자가 조절을 통해 정확한 상을 보기를 포기하여 조절을 하지 않는 경우 A. 두 눈의 굴절이상 약시 B. 감소된 조절 근점(가장 가까이 볼 수 있는 거리) C. 느긋하고 편안한 성격

양안시, 감각적응

**경험호롭터 : 일정한 주시거리에서 대응망막점에 맺히는 점들을 연결한 가상선 **파눔융합구역 : 삼차원 모든 물체는 호롭터 앞쪽 또는 뒤쪽에 위치하여 비대응망막점을 자극하게 되는데, 뇌에서는 약간의 오차를 보이는 상이 융합하여 하나의 물체로 인식하게 되는 호롭터 앞뒤의 한정된 부분 **한눈단서 : 한눈으로도 물체의 멀고 가까움을 알아내는 요인, 경험에 의해 후천적으로 얻어짐. – 움직임 파라락스, 직선원근법, 형태겹침, 빛과 그림자분포, 물체 크기, 대기원근법 Panum융합구역 내에서 융합이 있으면서 수평시차가 있는 망막상에서 얻어진 삼차원의 지각을 입체시라고한다. 수평으로 떨어진 점에 의해 입체시가 생기고, 수직으로 떨어진 점은 입체시를 유발하지 않는다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FAG i. 망막색소상피내 한 개 그 이상의 누출점 ii. 중심와 500-1500um 이내의 영역, 10% 미만에서 중심와에서 발견 iii. 빈도 – 상비측 (28.7%), 하비측, 상이측, 하이측 iv. 흔한 형태- 하나의 누출점으로부터 색소가 대칭적으로 모든 방향으로 퍼져 나가면서 천천히 균일하게 장액성 망막박리 부위를 염색, 바깥으로 번지지 않음 (ink blot) v. 10-15%- 단일 누출점에서 나온 색소가 굴뚝연기 모양으로 위로 올라가면서 수포의 윗부 분부터 채우면서 우산 또는 버섯 모양으로 가장자리를 따라 내려오는 모습 (smoke stack) – 다른 삼투압으로 인해 발생 OCT Enhanced depth imaging을 이용할 경우, 정상인에 비해 뚜꺼워진 맥락막도 관찰되는 데 이는 맥..

안내종양

망막모세포종 (Retinoblastoma) - 2세 전후 소아의 눈에 발생하는 m/c 악성종양 → 생명위협, 안구적출술 도입으로 사망률 감소 (선진국 : 90%이상 생존) - 단측 가족성/단측 산발성, 양측 가족성/ 양측 산발성 - 망막모세포종 유전자 = RB1 - 유전적인 경우 : 더 어린 나이 발병, 양측성 빈번, 안구 외 종양동반 ↑ - 증상 : 백색동공 (m/c), 사시, 눈맞춤 지연 - 망막의 내층 기원 – 성장 방향과 양상에 따라 - 내성장 망막모세포종 : 유리체강 방향으로 자라는 경우, m/c 형태 - 외성장 망막모세포종 : 포도막 방향으로 자라는 경우, 종양의 성장과 함께 광범위 RD 흔히 동반, 쉽게 포도막 침범하지만 종양이 안구 내 국한된 경우에는 내성장형과 예후 차이 X. - 광범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