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결핵 (Ocular Tuberculosis)
1) 임상양상: 전방염증 또는 유리체염 소견을 동반한
1. 홍채후유착
2. 망막혈관염: 정맥침범 (베쳇: 망막염 반흔없이 치유, Sarcoidosis: 촛농이 흘러내리는 모양)
3. 다발성 뱀모양 유사 맥락막염: 시신경주위에서 RPE, 망막외측을 지도모양으로 침범(위축)
4. 맥락막 결핵종: 후극부 황색/회백색의 경계불분명한 융기, 초기 저형광 ->후기 과형광
5. 시신경 육아종
6. 시신경병증
2) 진단: 과거력, 투베르쿨린 피부검사(TST), CXR, 항결핵제반응, INF-r release assay, PCR
안구 결핵의 가장 확실한 진단은 안구 조직에서 결핵균을 검출하는 것이다.
음성률이 높지만, PCR을 통해 결핵균 검출하는 것이 확진
3) 치료: 4자 요법 (+경구 스테로이드 고려, 허혈성 부위 빠른 광응고술)
눈 매독 (Ocular syphilis)
1기: 굳은하감 / 2기: Rash(맥락망막염) / 잠복기:1년이내 조기, 1년이후 만기 / 3기: 고무종, 신경(Argyll-Robertson 동공: 대광반사 없는 작고 불규칙한 동공, 간질각막염), 심혈관계
1. 임상양상: 육아종성 홍채섬모체염(M/C), 간질각막염, 맥락망막염, 유리체염증
1) ASPPC (acute syphilitic posterior placoid chorioretinitis)
-후극부 및 주변부에 발생하는 회색빛 + 노란색빛 병변, 점점 융합하여 크기가 커짐
-맥락막침범 없이 괴사망막염만 나타나기도 함 (ARN 과 유사)
DDx.) 매독에 의한 망막염은 천천히 진행. 시력 결과 양호, 페니실린에 잘 반응
2) FA상 초기 저형광, 후기 과형광
3) OCT상 RPE에 hyperreflective nodularity, EZ/ELM disruption, irregular nodular elevation, Choroid punctate hyperreflectivity
2. 진단
1) 병력 청취: 매독감염자와 성 접촉을 한 경우
2) 임상 검사: 각기 다른 눈에 공막염과 포도막염이 동반된 경우 꼭 시행
전안부 - 육아종성 홍채섬모체염이 가장 흔함 (46%), 비육아종성도 가능
후안부 - 맥락망막염이 가장 흔함
3) 혈청 검사
-Nontreponemal test (매독균 비특이 항체검사): VDRL, RPR
높은 민감도, 낮은 특이도. 질병의 활동성과 연관, 항생제 치료 반응 확인에 유용
3기 등 후기 매독에서는 음성 가능 (3기에서는 VDRL, FTA-ABS 동시에 검사)
-Treponemal test (매독균 특이 항체검사) : FTA-ABS, TPPA, TPHA
높은 민감도 및 특이도. 치료나 질병 활동성에 관계 없이 한 번 감염되면 평생 양성
치료 효과 판정에는 부적절
*눈 매독의 모든 환자에서는 뇌척수액 VDRL 검시 및 단백질 총량, 백혈구 세포 감별 동정 시행
*HIV와 동반 감염이 많으므로, HIV검사도 함께 시행
3. 치료
매독 눈병증은 신경매독으로 간주하여 치료 권장
Penicillin G IV (4시간마다) 2주 + Benzathine penicillin G IM 3회 (매주)
'안과질환 백과사전 > 망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감염성 염증질환 (2) | 2021.07.19 |
---|---|
안내염 (0) | 2021.07.18 |
거대세포바이러스 망막염 (0) | 2021.07.16 |
톡소플라스마증, 눈개회충증 (0) | 2021.07.16 |
급성망막괴사, Acute retinal necrosis (0) | 2021.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