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질환 백과사전/성형안과

안와, 눈꺼풀, 눈물기관의 해부

Phaco c PCL 2021. 5. 29. 21:23

* 로센뭘러판막(valve of Rosenmuller)

  - 눈물주머니와 합쳐지는 공통눈물소관의 안쪽 끝에 있음

  - 눈물이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 기능이 약화되면 코를 풀때 공기가 눈물점을 통하여 눈으로 빠져 나오게 됨

 

눈썹주름근(corrugator)과 눈살근(procerus)

- 위눈꺼풀을 내리는데 기여하는 근육

- corrugator: 수직주름을 만듬

- proceruss: 수평주름을 만듬

 

* Superior peripheral arterial arcade(주변혈관아케이드)는 눈꺼풀판바로위의위눈꺼풀올림근과뮐러근사이에 위치하여 위결막구석에 혈액을 공급한다. 위눈꺼풀올림근널힘줄의 뿔을 자르거나 뮐러근박리시 손상되어 출혈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 외측 눈구석이 내측 눈구석보다 2mm 정도 높다. 위눈꺼풀은 동공 내측에서 가장 높다. 아래 눈꺼풀은 lateral limbus 아래에서 가장 낮다. 눈꺼풀은 회색선(gray line)을 따라 앞뒤층판으로 분리, 앞층판에 피부와 눈둘레근이, 뒤층판에는검판과 결막이 위치한다. 정상 속눈썹소실은 아래눈꺼풀보다는 위눈꺼풀에서 보다 쉽게 눈에 띄는데 이유는 위눈꺼풀의 속눈썹이 더 촘촘하며 바깥으로 나와있기 때문이다.

 

눈물점은 안구와 맞닿아 있어야 하며 정면에서 눈물점이 보이면 눈물점겉말림이 있는 것이다. 안쪽눈구석에서 5-7mm가쪽에 위치하고 있고, 대개 아래눈물점이위눈물점보다 1-2mm 더 가쪽에 위치한다. 눈물주머니오목은 앞쪽 2/3은 위턱뼈, 뒤쪽 1/3은 얇은 눈물뼈로 구성된다. 한국인에서는 눈물주머니오목을 구성하는 위턱뼈가 두껍고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경우가 있어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시 눈물주머니오목의 뼈를 제거하여 뼈구명을 만드는 것이 어려울수 있다. 여자가 눈물주머니오목이 더 좁아 눈물길폐쇄가 여자가 더 많은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눈물주머니와 합쳐지는 공통눈물소관의 안쪽 끝에는 로센뮐러판막(valve of Rosenmüller)이 있어 눈물이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 기능이 약화되면 코를 풀 때 공기가 눈물점을 통하여 눈으로 빠져 나오게 된다. 하스너판막(calve of Hasner)은 신생아 눈물점폐쇄와 연관된 구조물로 출생시 10-70%에서 폐쇄되어 있지만 생후 6개월이내 대부분 저절로 개방된다. 급성눈물주머니염증의에 의한 눈물주머니의 확장은 주로 안쪽눈구석인대의 아래쪽부위에서 일어나며 안쪽눈구석인대의 위쪽에서 발생한 종괴는 눈물주머니의 종양을 의심할 수 있다. 윗부분의 코눈물관은 둘러싼 뼈로부터 쉽게 박리되지만 아래쪽으로 갈수록 단단하게 유착되는 비점막의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코눈물길 더듬자 검사시더듬자를잘못통과시켰을때 아래눈물관부위에서 더 심한 저항을 느끼게 된다.

'안과질환 백과사전 > 성형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꺼풀처짐  (0) 2021.05.30
눈꺼풀의 위치이상  (0) 2021.05.30
성형안과 수술의 기본원칙  (0) 2021.05.29
눈꺼풀 재건술  (0) 2021.05.19
Sphenoid bone fracture  (0) 2021.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