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귀모양변형(dog-ear deformity)
- 양쪽 절개창 길이가 다른 경우나 타원형의 피부절제를 할 때 잘 발생
- 봉합 마무리 단계에서 잘 생김
- 연속봉합보다 단속봉합시 덜 생김
- 교정 후 전체 절개창의 길이가 더 길어짐
- 코에서 귀 방향으로 진행해야 피부를 쉽게 당겨올 수 있어서 처리가 수월함
- 처치
ㄱ. 개귀모양변형의 끝까지 절개를 연장한 다음 여분의 피부를 잘라내고 봉합
ㄴ. M-Y 성형술- 절개 끝 양 옆에서 작은 두개의 삼각형 모양으로 잘라내고 봉합
* 눈꺼풀봉합은 4~5일에 제거한다. 고혈압약은 수술당일 오전까지 복용. 봉합바늘을 바늘집게로 잡을 때에는 봉합침 뒤쪽 3/4지점의 단면이 납작한 부위를 잡는다. Spatula needle은 눈꺼풀판과 공막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뼈 지혈에는 단극성 소작기를 사용한다.
* 절개 중 출혈로 인한 수술시야가 방해 받는 것을 피하기 위해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절개선이 이중으로 되는 것을 막고 절개의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중간에 쉼 없이 연속적으로 절개를 진행하는 것이 좋다. 단극성 전기소작기는 응고와 자르기가 동시에 가능해 칼이나 가위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수술 중 출혈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양극성 전기소작기에 비해 응고 효과가 떨어진다. 무구집게의 경우 집게 끝에 잇날이 없기 때문에 조직을 잡고 있기 위해 좀 더 큰 힘으로 집게 되며 조직을 으깨기 때문에 유구집게에 비해 조직손상이 크다. Conventional cutting형이 reverse cutting형에 비해 조직 손상이 심하다. 끝이 무딘 것은 조직박리에 유용하고 뾰족한 것은 조직을 잘라내기에 적합하다.
* 피부 반흔을 줄이기 위해 피부면과 수직이 되게 절개한다. 수술가위는 으깨는 힘에 의해 자르는 면의 손상이 상당할 수 있으므로 피부절개 시 가위보다 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근육 작용방향과 수직으로 (=피부주름방향대로 =relaxed skin tension line과 평행하게) 절개하는 것이 흉터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절개선은 쌍꺼풀선과 같이 자연적으로 형성된 주름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눈꺼풀수술을 위한 절개선그리기는 환자가 앉은 상태에서 그리는 것이 좀더 정확하다.
* 깊고 좁은 부위에서는 굽은 형이 편리하며 단극성 전기소작기는 뼈출혈에 유리, 화상위험이 있어 환자 몸에서 쇠붙이 제거해야함. 양극성은단극성에 비해 응고작용이 좋다. 혈액과 같은 액체 있는 경우 유리. 뼈에서 일어나는 출혈은 양극성 전기소작기로는 잘 지혈되지 않고 단극성 소작기를 쓰거나 bone wax로 출혈부위를 막아야 한다.
* 부분층피부이식은 단지 표피만을 이식하는 것으로 주된 공여부위는 넓적다리(대퇴부) 안쪽 피부이다. 질감이 거칠고 색소침착과 수축이 잘 일어나기 때문에 안와내용제거술 후 노출된 안와뼈를 덮어주거나 매우 심한 결막낭위축의 재건술 등 제한된 경우에 사용된다. 눈꺼풀에 시행하는 전층 피부이식편의 가장 좋은 공여부위는 반대편 눈꺼풀이지만 채취할 수 있는 양이 제한되어 있으며 공여 눈이 완전히 감기지 않는 합병증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그 외에 귓뒤바퀴 피부가 많이 사용되며 이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빗장뼈위 피부, 팔 안쪽 피부, 사타구니 피부를 쓸 수 있다. 피부이식편의 혈류공급은 이식부에 전적으로 의지하기 때문에 이식부의 바닥과 잘 접촉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식편이 클 경우 이식편에 조그만 절개 구멍을 만들어 주어 이식편 밑으로 혈종이 생기는 것을 막는 것이 좋다. 피하조직을 제대로 제거하지 못하는 경우 이식편이 두꺼워져 생존율이 떨어지며, 이식편이 생존하더라도 이식 부위가 울퉁불퉁해져 외관상 문제가 될 수 있다.
'안과질환 백과사전 > 성형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꺼풀처짐 (0) | 2021.05.30 |
---|---|
눈꺼풀의 위치이상 (0) | 2021.05.30 |
안와, 눈꺼풀, 눈물기관의 해부 (0) | 2021.05.29 |
눈꺼풀 재건술 (0) | 2021.05.19 |
Sphenoid bone fracture (0) | 2021.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