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질환 백과사전/성형안과 19

필러와 보툴리눔 독소

* 필러주입술의 가장 흔한 합병증은 과민반응이다. 부족교정시 최소 2주뒤에 추가로 시술한다. 선형병변(주름) 치료시 선형후퇴주입술 방법으로 시술한다. 혈관과 평행하기 보다는 어느 정도의 각도로 주입하며 눈물고랑(tear trough) 치료시 피하지방층 또는 근육밑이 좋고 눈둘레근 자체에는 필러가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 주사괴사 End artery 에서 잘 발생하며, 시술 1~2일 이내에 급격하게 진행하는 홍반성 부종과 군집성의 작은 농포들, 그리고 심한 통증을 야기함. Intra-arterial /Extra-arterial obstruction 여부가 중요함. 혈관내부가 막히면 색전증이나 심각한 합병증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심한 피부괴사까지 가는 경우가 많음. 위험부위에선 많은 양을 한번에 주사하지 않..

아래눈꺼풀 성형술

* 아래눈꺼풀 수술 후 결막부종 : 혈관의 투과력 증가, 림프, 정맥의 차단. 만성적염증이 있는 눈에서 잘온다. 급성기 치료는 압박붕대, 스테로이드 복용, 이후 인공누액 연고 사용. 외안각 수술시 잘 발생한다. (림프부종 외안각부위를 깊게 절게하여 림프관이 손상되는 경우 눈꺼풀과 결막에 부종이 발생할 수 있고 서서히 호전되지만 1년이상 지속될수도 있다.) * 아래눈꺼풀뒤당김 치료 - 경도 : 마사지하면서 경과관찰 - 수평이완시 : 가쪽눈꺼풀판띠고정술 or 가쪽눈구석부위에 오각형의 눈꺼풀조직 절제 - 중간층판 구축시 : Spacer 이식 (눈꺼풀테중간층판반흔절제술) - 피부과다제거시 : SOOF lift or 피부이식술 손가락으로 위쪽으로 밀어보아도 올라가지 않는 소견은 중간층판 구축 소견으로 반흔조직제거..

위눈꺼풀성혈술

* 동양인에서 지방을 과도하게 제거하게 되면 눈꺼풀함몰뿐 아니라 원하지 않았던 부위에 피부가 유착되어 주름이 여러 개 생기고 쌍꺼풀이 불규칙하게 되어 보기 싫어지는 경우가 있다. 과도한 함몰이 있는 경우는 진피지방이식이나 자가지방주입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요즈음은 필러도 많이 사용된다. 여러겹쌍꺼풀이 생기지 않도록 눈둘레근의 과도한 절제와 소작을 피하고, 피부봉합 할 때 위쪽 눈둘레근을 포함하여 봉합한다. 여러겹쌍꺼풀이 지속되면 쌍꺼풀을 풀고 재유착 방지를 위해 사이막앞지방을 내려 눈꺼풀판에 봉합하거나, 지방이 부족한 경우 자가조직 이식술을 하여 새로운 쌍꺼풀선을 만든다. * 노년층의 윗눈꺼풀 성형술시 앉은 상태에서 도안을 하는 것이 좋으며 안쪽보다 바깥쪽 피부를 더 많이 제거하며 안와사이막과 눈둘레근은..

눈꺼풀처짐

* MRD1 : 각막반사점부터 위눈꺼풀테까지의 거리 MRD2 : 아래눈꺼풀테부터 각막반사점까지의 거리 * Marcus-Gunn jaw-winking 증후군 - 눈꺼풀올림근에 분포하는 제3뇌신경과 저작기능에 관여하는 날개근육(pterygoid muscle)에 분포하는 제5번 뇌신경의 이상연결이 원인으로 추정되며 입의 움짐임에 따라 처진 눈꺼풀이 올라가는 현상을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 대개 눈꺼풀처짐이 있으며 우유를 빨 때 위눈꺼풀이 오르락 내리락 하는 현상이 관찰되는데 이를 연합운동(synkinesis)이라고 한다. - Tx : 현저한 연합운동이 있으면 눈꺼풀올림근을 제거하며 이때 발생한 눈꺼풀처짐을 교정하기 위해 이마근걸기술을 시행한다. 연합운동이 심하지 않으면 눈꺼풀처짐만을 교정하기 위하여 눈꺼풀올..

눈꺼풀의 위치이상

* 덧눈꺼풀은 속눈썹 주위의 과도한 피부주름과 눈둘레근이 눈꺼풀테 위로 겹쳐져 속눈썹이 안구쪽으로 밀려 각막과 결막을 자극하는 질환이다. 덧눈꺼풀이 생기는 해부학적 원인은 과도한 피부주름 및 눈둘레근 외에 아래눈꺼풀당김기 말단섬유의 피부밑 부착결손이라고 생각된다. 덧눈꺼풀에서 눈꺼풀테의 위치는 정상이며 눈꺼풀판에도 이상이 없어서, 눈꺼풀테가 안구쪽으로 말려들어간 눈꺼풀 속말림과는 구별된다. 수술법은 변형호쯔시법(Modified Hotz's operation)과 속눈썹회전봉합법이 있다. * 퀴커트 봉합술 Quickert suture Quickert 봉합술 (full thickness suture) double armed 4-0 chromic으로 LL 뒤쪽의 inf. fornix으로 들어가서 LL 앞쪽의 속..

성형안과 수술의 기본원칙

* 개귀모양변형(dog-ear deformity) - 양쪽 절개창 길이가 다른 경우나 타원형의 피부절제를 할 때 잘 발생 - 봉합 마무리 단계에서 잘 생김 - 연속봉합보다 단속봉합시 덜 생김 - 교정 후 전체 절개창의 길이가 더 길어짐 - 코에서 귀 방향으로 진행해야 피부를 쉽게 당겨올 수 있어서 처리가 수월함 - 처치 ㄱ. 개귀모양변형의 끝까지 절개를 연장한 다음 여분의 피부를 잘라내고 봉합 ㄴ. M-Y 성형술- 절개 끝 양 옆에서 작은 두개의 삼각형 모양으로 잘라내고 봉합 * 눈꺼풀봉합은 4~5일에 제거한다. 고혈압약은 수술당일 오전까지 복용. 봉합바늘을 바늘집게로 잡을 때에는 봉합침 뒤쪽 3/4지점의 단면이 납작한 부위를 잡는다. Spatula needle은 눈꺼풀판과 공막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

안와, 눈꺼풀, 눈물기관의 해부

* 로센뭘러판막(valve of Rosenmuller) - 눈물주머니와 합쳐지는 공통눈물소관의 안쪽 끝에 있음 - 눈물이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 기능이 약화되면 코를 풀때 공기가 눈물점을 통하여 눈으로 빠져 나오게 됨 * 눈썹주름근(corrugator)과 눈살근(procerus) - 위눈꺼풀을 내리는데 기여하는 근육 - corrugator: 수직주름을 만듬 - proceruss: 수평주름을 만듬 * Superior peripheral arterial arcade(주변혈관아케이드)는 눈꺼풀판바로위의위눈꺼풀올림근과뮐러근사이에 위치하여 위결막구석에 혈액을 공급한다. 위눈꺼풀올림근널힘줄의 뿔을 자르거나 뮐러근박리시 손상되어 출혈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 외측 눈구석이 내측 눈구석보다 2mm 정도 높다..

눈꺼풀 재건술

Lower eyelid 1. Direct 2. Tenzel 회전피판 3. Modified Hewes 4. Mustard 뺨회전피판 5. Hughes-flap Upper eyelid 1. Direct closure 2. Tenzel flap 3. Sliding tarsoconjunctival flap 눈꺼풀판결막미끄럼피판 4. Reverse Hughes-flap 5. Cutler Beared 6. 아래눈꺼풀테줄기피판법 7. Mustarde 아래눈꺼풀테줄기피판법 8. Temporal forehead flap 9. 중앙이마피판법 10. 전층눈꺼풀 복합이식편 Medial canthus 1. 전층 피부이식 2. 미간피판 3. 눈꺼풀판결막미끄럼피판 4. 안쪽눈구석 고정 Lateral canthus 1. 회전피판 2..

Sphenoid bone fracture

Fractures of the sphenoid bone occur following injury to the orbit and base of the skull. Such fractures are important since they can cause loss of vision and damage to various neural and muscular tissues. Ocular injury is also commonly associated. 일단 sphenoid bone fracture의 개념과 sphenoid bone 한 번 보고 위치 잘 익혀두고 시작해보자. Traumatic optic neuropathy에서 optic nerve가 4가지 segment로 아래의 사진과 같이 나누어 지는데 intra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