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29

외상, 약물 및 빛에 의한 손상

클로로퀸 황반병증(Chloroquine retinopathy) - 말라리아 치료제, 류마티스 관절염, SLE 등 치료에 쓰임. - 망막 독성은 누적량 혹은 하루 용량 중 어느 것에 더 관련이 있는지 논쟁 중임. - 권장 용량 3.0mg/kg/day - 하루 용량 250mg 이상 & 총 누적량이 100g-300g 정도일 때 망막독성이 나타남. - 배설이 매우 느려 체내에 오래 잔류하기 때문에 약제를 끊고 난 후에도 망막독성이 진행하거나 늦게 나타날 수 있음. - 증상 : 중심부근암점(가장 먼저 발생)>미세한 황반부의 색소반점 및 중심와반사의 소실(초기 징후-가역적)> 전형적인 과녁황반병증(bull’s eye maculopathy)(후기) - FA : 초기에 황반 색소변화 - 망막전위도 검사 : 초기부터 비..

망막수술

가스주입 1. 머리는 옆으로 돌려 천공부위가 가장 높게 한다 2. 대개 상이측 limbus에서 3.5~4.0 mm(무, 위수정체:3mm) 떨어진 pars plana 통해 3. 주사침을 공막에 수직이 되게 찔러 넣고(큰 망막열공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 다시 조금 빼서 3~5mm 만 눈 속에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한번에 주입 : 가스 양은 1.0㎖ 목표: SF6: 0.5-0.6㎖ (2배 팽창)-36시간내, 2주지속 C3F8:0.3-0.4㎖(4배 팽창)-3일내, 4-6주지속 “물고기알 Fish-egg”가스방울 방지방법 1) 천공부위를 가장 높게 하고 2) 주사침을 너무 깊지 않게 3) 단숨에(한번에) 주입 4) 주사기를 공막에 수직, 큰 망막열공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에 시행 5) 방울이 주사바늘 주위에 생기..

망막박리

★ 증식유리체망막병증을 일으키는 위험인자 1. 거대망막열공 (90도 이상) 2. 유리체 출혈이 있는 경우(수술 전, 중, 후) 3. 2사분면 보다 넓은 광범위 망막박리 4. 술 후 맥락막박리가 있었던 경우 5. 포도막염 또는 외상에 의해 염증이 증가한 경우 6. 다발성 또는 큰 열공에 과도한 냉동응고술을 한 경우 7. 증식유리체망막병증이 이미 발생한 눈 8. 노출된 망막 색소상피가 많을수록 (신판에는 빠짐) 9. 기타(Ryan 1807p) : multiple previous eye surgery, Wagner ds, Sticker syn, Marfan, FEVR, Prolonged chorioretinitis, Viral infection of post. segment ★ 격자변성에서 예방적 치료를 하는..

안내종양

망막모세포종 (Retinoblastoma) - 2세 전후 소아의 눈에 발생하는 m/c 악성종양 → 생명위협, 안구적출술 도입으로 사망률 감소 (선진국 : 90%이상 생존) - 단측 가족성/단측 산발성, 양측 가족성/ 양측 산발성 - 망막모세포종 유전자 = RB1 - 유전적인 경우 : 더 어린 나이 발병, 양측성 빈번, 안구 외 종양동반 ↑ - 증상 : 백색동공 (m/c), 사시, 눈맞춤 지연 - 망막의 내층 기원 – 성장 방향과 양상에 따라 - 내성장 망막모세포종 : 유리체강 방향으로 자라는 경우, m/c 형태 - 외성장 망막모세포종 : 포도막 방향으로 자라는 경우, 종양의 성장과 함께 광범위 RD 흔히 동반, 쉽게 포도막 침범하지만 종양이 안구 내 국한된 경우에는 내성장형과 예후 차이 X. - 광범위 ..

비감염성 염증질환

중간포도막염(Intermediate Uveitis) § pars planitis, vitritis, intermediate uveitis § 망막 주변부의 염증성 질환군으로 (후모양체, 평면부, 주변부 망막, 맥락막의 염증성 질환) * C/C 비문증을 동반한 무통성의 양안성 시력흐림 * 어린이나 젊은이에 잘 생기며 * 전안부의 염증은 없거나 거의 나타나지 않는 반면 * 유리체강 내에 염증세포나 염증퇴적물이 빈번히 나타나며 * 특징적으로 망막평면부의 하부쪽에 백색의 침착물(snowbank)을 보이고 * 주변부 망막의 정맥염(phlebitis) 및 낭포황반부종(CME)을 동반 * 시력예후는 나쁘지 않으나 CME 동반하면 나쁘다 흰점증후군(White Dot Syndrome) 1. Birdshot Retinoc..

안내염

안내염 (Endophthalmitis) 1. 원인균 수술 후나 외상성: S. epidermidis가 m/c 관통상시 주요 원인균: Bacillus, Pseudomonas,S. epidermidis, Streptococcus, S. aureus, fungus 녹내장 시술 후: 즉시 발생 원인균 S. epidermidis, H.influenza, Moraxella, Enterococcus 만성 안내염: P. acnes가 m/c, S. epidermidis, fungus 내인성 안내염에서는 유리체내 세균성 병원체가 거의 동정되지 않음. - 원인병소는 간농양이 m/c : K. pneumoniae - 진균성 안내염 : Candida albicans가 m/c 2. 진단 : 안구초음파, Orbit CT, 방수와 유리..

안내결핵, 눈 매독

안내 결핵 (Ocular Tuberculosis) 1) 임상양상: 전방염증 또는 유리체염 소견을 동반한 1. 홍채후유착 2. 망막혈관염: 정맥침범 (베쳇: 망막염 반흔없이 치유, Sarcoidosis: 촛농이 흘러내리는 모양) 3. 다발성 뱀모양 유사 맥락막염: 시신경주위에서 RPE, 망막외측을 지도모양으로 침범(위축) 4. 맥락막 결핵종: 후극부 황색/회백색의 경계불분명한 융기, 초기 저형광 ->후기 과형광 5. 시신경 육아종 6. 시신경병증 2) 진단: 과거력, 투베르쿨린 피부검사(TST), CXR, 항결핵제반응, INF-r release assay, PCR 안구 결핵의 가장 확실한 진단은 안구 조직에서 결핵균을 검출하는 것이다. 음성률이 높지만, PCR을 통해 결핵균 검출하는 것이 확진 3) 치료:..

거대세포바이러스 망막염

거대세포바이러스 망막염 (Cytomegalovirus) 1)감염: 전신감염과 동반, CD4 Chronic progression 2. 병변 경계 뚜렷하지 않음, 중심부 회색의 위축성 병변, 망막 및 색소상피 위축 3. Type (1)후극부 혈관주위의 흰 망막침윤, 부종, 망막출혈 (2)출혈이 거의 없는 노란 과립상 (3)혈관염 4. 진행양상 : old lesion 경계에서 new lesion 생김, 경계부위 whitish 정도로 경과 판단 5. 면역회복 포도막염 : 치료 중 면역기능이 좋아지면서 염증반응이 나타남 3)망막박리 (15~40%) 위험인자 1. 감염기간이 길수록 2. 망막염의 범위가 크고, 양안 3. 병변이 앞쪽 망막(망막톱니둘레 근처) 4. 잦은 재발 5. old age 6. CD4+림프구수 ..

톡소플라스마증, 눈개회충증

톡소플라스마증 (Ocular Toxoplasmosis) 감염성 맥락망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 / 소아 Posterior uveitis의 가장 흔한 원인 1) 전파: 1. 감염된 고기 조리하지 않고 섭취, 오염된 손, 피부, 위생처리 안된 우유 2. 장기이식, 태반전이 (선천성) → 경련, 두개 내 석회화, 망락맥락막염 2) 임상양상 1. 망막에서 시작 - 국소적인 괴사성 망막염 -> 맥락막까지 침범 2. 급성: 부드러운 크림색, 경계모호, 둥근타원(headlight in fog) 만성: 회백색, 경계분명, 색소침착 3. 시신경염, 앞포도막염, 삼출 망막박리, 신생혈관, 망막정막폐쇄, 망막출혈, 이차성녹내장(m/c) 3) 진단 1. 특징적 임상양상으로 진단 가능 2. 혈청검사: IgM Antibody (Sa..